난제 많은 국토·문체부 장관 막판 고심
거대여당 엄호속 낙마 많지 않을 듯
이재명 정부가 이번주 1기 내각 인선을 마무리한다. 17개 부처의 장관 후보자가 대부분 확정되면서 이제 정치권의 관심은 인사청문회로 넘어가고 있다. 다만 여당인 더불어민주당이 압도적 다수 의석을 차지하고 있어 김민석 국무총리가 무난하게 임명동의안이 통과된 것처럼 낙마 가능성 있는 후보자는 없을 것으로 보인다.
이재명 대통령은 6일 후보를 아직 발표하지 않은 국토교통부 장관·문화체육관광부 장관 후보자 인선을 놓고 막판 고심을 거듭하는 것으로 알려졌다. 국토부 장관은 부동산 정책을 감당해야하는 자리라는 점에서, 또 문체부 장관은 '문화강국 도약'을 이끌어야 한다는 점에서 고민이 길어지고 있다.
국토부 장관의 경우 김세영 전 경기주택도시공사(GH)사장과 정일영 더불어민주당 의원이 막판 유력 후보군으로 떠올랐다. 김 전 사장은 서울주택도시공사(SH)사장도 역임한 적이 있어 수도권 주택공급 정책에 경험이 있다는 것이 큰 강점이다. 정 의원의 경우 인천국제공항공사 사장과 교통안전공단 이사장을 역임해 경험과 함께 정무적인 능력도 있다는 평가가 나온다.
문체부 장관의 경우 문화예술계 지원, 체육계, 관광업계까지 워낙 광범위한 범위를 다루기에 적합한 후보군을 찾는 데 어려움을 겪는 것으로 알려졌다. 이 대통령이 지난달 30일 문화예술계 수상자 간담회에서 "이걸 다 할 수 있어야 하는 사람이어야 되는데"라며 인선 어려움을 토로하기도 했다.
특히 유력 후보로 거론됐던 유홍준 전 문화재청장이 고사하면서 후보자 지명이 지연되고 있다. 현재는 박용만 전 두산그룹 회장이나 김현환 전 문체부 차관 등이 거론되는 것으로 전해졌다.
다만 여당이 거대 의석을 쥐고 있어 역대 과거 정권 처럼 낙마하는 후보는 많지 않을 전망이다. 통상 국무총리직은 임명에 국회의원 과반의 동의가 필요해 야당과 합의 처리하는 것이 일반적이지만, 민주당은 지난 3일 거대 의석을 앞세워 김민석 국무총리 후보자 인준안을 야당의 동의 없이 통과시켰다.
임재섭 기자 yjs@dt.co.kr

실시간 주요뉴스
기사 추천
- 추천해요 0
- 좋아요 0
- 감동이에요 0
- 화나요 0
- 슬퍼요 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