전국 주유소가 최근 6년 반 동안 1000곳 가까이 문을 닫은 것으로 나타났다. 경쟁 심화와 수익성 악화로 인해 생존 자체가 어려운 상황이지만 고비용의 철거·정화 절차 등으로 폐업조차 쉽지 않다는 목소리가 나온다.
6일 한국석유공사 유가정보시스템 오피넷에 따르면 전국 주유소 수는 2019년 1만1499곳에서 올해 6월 말 기준 1만528곳으로 971곳(8.4%) 줄었다. 단순 계산하면 2∼3일에 한 곳꼴로 문을 닫는 셈이다.
전국 주유소 수는 2010년 1만3004곳으로 정점을 찍은 뒤 15년째 하락세를 보이며 구조적 축소 국면에 있다. 이 추세라면 3∼4년 내 주유소 수는 1만곳 아래로 떨어질 것으로 보인다.
주된 원인으로는 수익성 악화다. 통계청에 따르면 주유소 영업이익률은 1991년 17.8%, 2001년 11.5% 수준이었으나, 2023년에는 1.7%까지 떨어졌다. 업계는 정부 지원을 받는 알뜰주유소 확산이 이 같은 수익성 저하의 주요 요인이라고 지적한다.
알뜰주유소는 리터당 가격이 일반 주유소보다 40~50원 저렴해 가격 경쟁력을 갖췄다. 2019년 1182곳에서 올해 5월 기준 1290곳으로 증가했다. 판매 점유율도 20%를 넘긴 상태다.
여기에 전기·수소·하이브리드 등 친환경차 보급 확대 역시 주유소 업계에는 부담으로 작용하고 있다. 지난해 국내 친환경차 등록 비율은 10.4%로, 전년보다 2.2%포인트 증가하며 처음으로 10%를 넘어섰다.
문제는 주유소를 폐업하기조차 쉽지 않다는 점이다. 건축물 철거와 정화 등 복잡한 절차와 높은 비용 때문이다. 주유소 부지를 다른 용도로 전환하려면 토양 정밀조사, 지하 탱크 제거, 위험물 처리 등 원상복구를 거쳐야 하며 여기에 들어가는 비용은 평균 1억원에 달한다.
일부 주유소는 휴업과 영업을 반복하거나 장기 방치돼 흉물로 남는 사례도 늘고 있다. 현실을 반영한 규제 완화와 전·폐업 유도를 위한 실질적 대책이 시급하다는 목소리가 나오는 이유다.
대한석유협회·한국석유유통협회·한국주유소협회 등 석유3단체는 지난 5월 주유소 관련 건축 분야에서 규제 개선을 완화해달라는 건의문을 국토교통부에 제출했다. 건의문에는 지구단위계획에 따른 주유소 재건축 규제 완화, 주유소 재건축 시 해체 허가 대상 면적 완화, 신도시와 산업단지 내 주유소 허용 용도 완화 등의 내용이 담겼다.
박한나 기자 park27@dt.co.kr

실시간 주요뉴스
기사 추천
- 추천해요 0
- 좋아요 0
- 감동이에요 0
- 화나요 0
- 슬퍼요 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