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타운홀미팅’ 형식, 각종 현안에 막힘없이 즉답

전임 대통령에 비해 회견 개최 시기 빨라

한미동맹·한미일 공조 속 남북 적극 소통 강조

각종 현안에 대해 ‘즉흥 답변’

이재명 대통령이 3일 청와대에서 취임 30일 기념 기자회견을 열고 있다. 연합뉴스
이재명 대통령이 3일 청와대에서 취임 30일 기념 기자회견을 열고 있다. 연합뉴스

이재명 대통령은 3일 취임 후 첫 기자회견을 열고 국내외 현안 전반에 대한 입장을 직접 밝혔다. 회견은 기존의 서면 질의응답 형식을 탈피한 ‘타운홀미팅(자유롭게 의견을 주고받는 회의 형식)’ 방식으로 진행돼 눈길을 끌었다. 이 대통령은 현장에 참석한 기자들과의 즉석 질의응답을 통해 정치·외교·경제·감사제도 개편 등 다양한 이슈에 관해 막힘없는 의견을 개진하며 ‘직접 소통형 리더십’을 부각했다.

이날 기자회견은 이 대통령의 취임 한 달을 맞아 청와대 영빈관에서 ‘대통령의 30일, 언론이 묻고 국민에게 답하다’라는 제목 아래 열렸다. 이 대통령은 질문 하나하나에 구체적 수치를 언급하거나 과거 사례를 인용해 설명하는 등 자세한 답변을 이어갔다. 이에 이 대통령의 강점인 ‘즉흥 대응’이 드러났다는 평가다.

특히 윤석열 전 대통령이 취임 100일에 첫 기자회견을 연 것과 달리, 이 대통령은 취임 30일 만에 기자들과의 소통에 나서며 확연한 차이를 보였다. 게다가 ‘질문 즉흥 추첨’도 선보였다. 평소 종합일간지나 주요 경제지 등이 대통령과의 질문 기회를 얻을 수 있었는데, 이번에는 추첨으로 질문자를 뽑아 지역지, 군소 매체 등이 질문 기회를 얻었다. 사전 조율 없이 무작위 추첨은 이색적이라는 반응이다. 질문은 경제부터 외교, 감사원 개편, 검찰개혁, 남북관계에 이르기까지 민감한 현안을 가리지 않고 쏟아졌다. 이 대통령은 단 한 번도 답을 피하지 않았다. 오히려 수치와 과거 사례, 입법적 맥락까지 곁들여 정제된 문장으로 ‘즉답’을 이어갔다. 직접 기자회견장에 오기 힘든 기자들의 질문을 화상으로 받은 것도 인상깊은 장면으로 분류된다.

회견은 2시간 가까이 진행됐다. 중간에 사회자가 개입하지 않고 기자와 대통령이 ‘1대1’로 질문을 주고받는 방식이 유지됐다. 연단 없이 이 대통령이 참석자들과 동일한 눈높이에서 앉아서 진행됐다는 점도 긍정적인 평가를 받는다. 기자단 좌석과 이 대통령의 거리는 1.5m 정도밖에 되지 않았다. ‘대통령이 즉흥적으로 답하는 정치’의 첫 실험대는 기존의 틀을 벗어나려는 시도 그 자체로도 의미가 있었다.

특히 정치권에서 논의되고 있는 남북 문제와 ‘감사원 독립성 문제’, ‘대통령 권력 구조’에 대해 이 대통령 본인의 생각을 가감없이 전달한 것도 인상깊다는 평가다. 이 대통령은 대북 정책 구상과 관련해 한미동맹과 한미일 공조를 강화하면서도 남북대화의 필요성을 동시에 언급했다. “대화를 전면 단절하는 것은 정말 바보 짓”이라고 말하면서 윤석열 정부가 사실상 중단했던 남북 대화 채널 복원을 시사한 발언도 했다. 정동영 통일부 장관이 주장한 통일부 명칭 변경 필요성에 대해서 중도적 입장을 내놨으며 감사원 기능 국회 이관, 지역균형 발전 등 산적한 현안에 대해 즉흥적으로 자신의 생각을 드러내기도 했다.

야권에서도 긍정적인 반응이 나왔다. 강전애 국민의힘 대변인은 이날 YTN 라디오 ‘이슈앤피플’과 인터뷰에서 “전체적으로 무난했다”며 “분위기라든지, 이런 것은 꽤 좋았다고 생각한다. 향후에도 기자회견이 계속 있을 것 같은 뉘앙스가 있는 것도 좋게 봤다”고 평가했다.

안소현 기자 ashright@dt.co.kr



[저작권자 ⓒ디지털타임스, 무단 전재-재배포, AI 학습 및 활용 금지]
안소현

기사 추천

  • 추천해요 0
  • 좋아요 0
  • 감동이에요 0
  • 화나요 0
  • 슬퍼요 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