이재명 대통령은 25일 취임 후 처음으로 호남을 방문해 지역현안인 광주광역시 민·군 통합공항 이전 문제에 대해 대통령실에 TF를 만들겠다고 하는 등 지역현안의 해결사를 자처했다. 속도감 있는 성과를 위해 해양수산부의 부산 이전을 지시한 바로 다음날 광주에도 선물을 안긴 셈이다.

이 대통령은 이날 광주 국립아시아문화전당을 방문해 '광주시민·전남도민 타운홀 미팅' 행사를 열고 지역현안에 대해 허심탄회한 말을 듣고 싶다고 했다. 특히 이 대통령은 모두발언부터 광주 군공항 이전 문제 해결을 작심한 듯 "최종 결론이 나지 않더라도 해결책의 단초를 찾길 바란다"면서 이해관계자들의 의견을 두루 청취했다.

광주 민·군 통합 공항 이전 문제는 광주시와 무안군이 오랜 갈등을 이어가는 상황이다. 광주시는 민간공항과 군공항을 무안공항으로 이전하겠다는 계획에 찬성하지만, 무안군은 지역 경제 영향 등을 우려하면서 군공항 이전에 강하게 반발하고 있다. 이 대통령은 이 갈등을 당 대표 시절에도 해결하려고 노력했다고 한다.

이 대통령은 각 지역이 자신의 지역을 대변하는 내용을 걸러내면서 쟁점을 정리했다. 기존 광주 공항 부지의 판매 차익 예상치와 관련, 강 시장이 "요즘은 (수익이 얼마인지) 계산을 못했다"고 하자, 이 대통령은 "그러니까 무안에서 (광주시의 약속을) 못 믿는다, 추산이라도 대충 얼마냐"고 재차 묻기도 했다.

또 소음피해를 호소해 해결이 어렵다는 말엔 각 지역에 사는 사람을 불러 어디까지 소음피해가 있는지 직접 들으면서 상황을 정리하기도 했다. 무안 지역 목포대 총장은 "학교가 무안공항에서 15km 떨어져 있는데 실제 겪은 일이 아니지만 무안군수로선 교육기관이라 우려가 있을 것"이라고 했다.

이 대통령은 "최대한 속도감 있게 실제 조사도 하고, 주민도 참여시키고 외부 전문가도 참여시켜 팀을 만들어야 할 것"이라며 "쟁점은 대충 나와 있지 않나. (통합 이전을 하면) 무안이 피해를 보니 광주에서 1조원을 지원한다고 하는데 안 믿는 것이니, 실현 가능한 지원방안을 (찾아보자)"이라고 설명했다.

이 대통령은 "무안 지역이 피해를 보지만 전라남도 입장에서는 중요한 국가시설을 유치하는 효과가 있는 것 아닌가"라며 "전라남도도 (함께) 책임을 지자"고 했다.

김영록 전남지사는 "무안에 국가적 사업을 시행하는 것에 대한 지방비 부담이 발생하는데, 이는 광주시가 아닌 전남도의 부담"이라며 "문제가 해결된다면 과감히 부담하겠다"고 말했다.

이 대통령은 군 공항이전 외에도 대한민국 균형발전 문제에 대해서도 의견을 청취했다. 이 대통령은 "수도권에 온갖 문제가 논의되는데, 대한민국이 결국 과도하게 수도권에 집중되고 수도권이 미어터져서 생기는 문제가 대부분"이라며 "어떻게 하면 지역 균형발전을 이룰 수 있을지 이해 당사자 이야기를 듣고 싶다"고 했다. 임재섭기자 yjs@dt.co.kr
이재명 대통령이 25일 광주광역시 국립아시아문화전당에서 열린 '광주시민·전남도민 타운홀미팅'에 참석해 발언하고 있다. 대통령실통신사진기자단=연합뉴스.
이재명 대통령이 25일 광주광역시 국립아시아문화전당에서 열린 '광주시민·전남도민 타운홀미팅'에 참석해 발언하고 있다. 대통령실통신사진기자단=연합뉴스.


[저작권자 ⓒ디지털타임스 무단 전재-재배포 금지]
임재섭

기사 추천

  • 추천해요 0
  • 좋아요 0
  • 감동이에요 0
  • 화나요 0
  • 슬퍼요 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