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이재명 대통령과 金 총리후보 장담한 해명 실종, 의전용 면죄부 절차 전락" "공적 검증 봉쇄하고 사적 권리만? '해명 불가' 후보…국민은 이중성 꿰뚫어" "더불어민주당 당명도둑" 집회한 '민주당' 의장 金, 대표 강신성 향해 "스폰 유착"
김민석 국무총리 후보자가 6월24일 국회 본청에서 열린 총리 후보자 인사청문회에 출석하고 있다.<연합뉴스 사진>
전병헌 새미래민주당 대표는 초유의 증·참고인 없는 국무총리 인사청문회, 김민석 후보자의 금전 의혹 해명 논란을 두고 "증인 없는 청문회, 해명 없는 해명. 이것이 더불어민주당 집권 후 진화한 신(新)방탄술인가"라며 자진사퇴를 재차 요구했다. 당명이 얽힌 악연도 소환했다.
전병헌 대표는 김민석 후보자 청문회 첫날인 24일 페이스북에 연이어 글을 올려 "역대 최초로 증인도 참고인도 없이 '의전용 면죄부 절차'로 전락했다. '청문회에서 모든 의혹을 소명하겠다'고 호언장담하더니 국민 앞에 내놓은 건 증거없는 무책임과 회피뿐"이라며 이같이 말했다.
그는 "자료 제출은커녕 '개인정보 보호'를 핑계로 철통 방탄벽을 쳤다. 의혹은 산더미인데, 이재명 대통령과 김 후보자가 장담했던 해명은 실종됐고 비리와 부패의혹은 '방탄 금고'에 꽁꽁 감췄다"며 "민주당이 벌이는 건 총리 후보 검증이 아니라 '총리 감싸기 정치쇼'"라고 했다.
이어 "이쯤 되면 '청문회에서 해명될 것'이라던 김 후보자와 민주당 말은 국민을 상대로 한 '대국민 기만극'"이라며 "총리 후보자 재산형성과 불투명한 자금거래를 숨기려 개인정보 운운하며 자료 제출을 거부한다면 직을 스스로 내려놓는 게 상식과 논리에 부합한다"고 지적했다.
지난 6월11일 전병헌 새미래민주당 대표가 서울 여의도 당사에서 최고위원회의를 주재하며 모두발언을 하고 있다.<새미래민주당 홈페이지 사진>
아울러 "1인지하 만인지상의 자리에 오르겠단 사람이 '공적 검증' 대신 '사적 권리'를 내세우는 건 명백히 비루하고 비겁하다"며 "증인·참고인·자료를 전면 봉쇄한 이번 청문회는 후보자가 '해명 불가'를 자인한 셈이다"면서 "국민은 이중성과 기만을 분명히 꿰뚫어보고 있다"고 경고했다.
전 대표는 "눈속임 청문회로 총리를 임명하겠단 발상은 새 정부에 오히려 심각한 부담이다. 청문회 시작 전 '업무보고 쇼' '총리 간담회 쇼'를 벌이며 총리 행세한 김 후보자, 김칫국은 충분히 마셨으니 이제 내려올 때"라며 "검증없는 청문회는 모래 위에 지은 성, 무너지는 건 시간문제"라고 쏘아붙였다.
자신이 제안한 '더불어민주당' 당명 개정 초기, 김 후보자가 이끌었던 원외 '민주당'과의 악연도 소환했다. 전 대표는 지난 2016년 1월11일자 '민주당' 김민석 당시 의장과 강신성 전 대표 등이 더불어민주당 중앙당사 앞에서 '더문재인당 당명 도용 규탄집회'를 열었다는 보도를 공유했다.
당시는 문재인 전 대통령이 제1야당 대표직을 내려놓기 16일 전이었다. 이때 김민석 의장은 "계파 패권주의와 무능으로 분란의 늪에 빠진 제1야당 지도부"라며 "국민을 속이고 야당 지지자들을 속이려는 유치한 당명 도용 지능사기집단이자 민주팔이 알박기 정당으로 전락했다"고 비난했다.
지난 2016년 1월11일 원외 '민주당' 김민석 당시 의장과 강신성 대표를 비롯한 당직자와 당원들 300여명이 서울 여의도 더불어민주당 중앙당사 앞에서 당명 도용 기자회견을 열고, '당명 도둑 꼼수정치 더불어는 사죄하라' '당명 도둑 더불어서 정치 갑질 웬 말이냐' '당명이냐 음주단속이냐 더불어~더불어~' 등이 적힌 피켓을 들고 '더불어민주당' 문재인 지도부를 규탄했다. 당시 '민주당'이 언론이 제공한 사진.
전 대표는 "김 후보자 청문회를 통해 무대의 실질적 '두 주인공'이 누군지 실체가 고스란히 드러났다"며 "명백한 사실왜곡, 적반하장의 사기극, 허위 중상모략의 합작도 서슴지 않는 사이였다. 민주당 당명에 '더불어'를 붙인 건 내가 2015년 민주당 최고위원 당시에 한 것"이라고 폭로했다.
이어 "당시 나는 창당 60주년 기념사업위원장으로서 직접 공모를 주도하고 (전신인 새정치민주연합에서) '더불어민주당'이란 당명을 결정했다"며 "당시 김 후보자와 강신성씨는 민주당명(선관위 등록 약칭)을 알박기했다. 그러고는 적반하장 중상모략과 허위선동을 했다"고 주장했다.
강신성씨가 김 후보자 정치자금법 처벌로 직결된 불법정치자금 공여자, 사적 채무의 채권자와 후원회장으로 이름을 올렸을 뿐 아니라 '정치적 동지'였다고 볼 정황을 꼬집은 셈이다. 전 대표는 "우린 청문회에서 총리 후보자가 아닌 그를 둘러싼 정치적 '스폰 조역'과의 유착관계를 목도했다"고 말했다.
또 "과거의 기록과 현재의 행태가 고스란히 이어지는 끈끈한 연결 고리야말로 해명이 거짓말이었음을 입증한다"며 "진실을 밝히는 무대를, 김 후보자와 그 측근들은 자신들의 '면죄보 제조기'로 착각한 듯하다. 과거가 떳떳하지 못한 자들이 미래를 말할 자격은 없다"고 날을 세웠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