6·3 대선 직후 시사인-한국리서치 웹패널조사 대선후보별 득표율 근접한 응답층에 현안설문 12·3 계엄에 '잘못' 82% '정당' 12% 약 7배차 '위헌' 찬반 71% vs 20%, '내란' 67% vs 26% '국힘 책임인정·尹 단절' 압도…'찬탄' 리더 선호 지난 6·3 대통령선거에 투표한 국민의 8할 이상이 윤석열 전 대통령의 파면 사유인 12·3 비상계엄 선포를 '잘못됐다'고 생각한다고 볼 설문 결과가 주목된다. 비상계엄을 '정당했다'고 보는 쪽은 10명 중 1명꼴에 그쳤다. 12·3 계엄이 헌법 위반이란 여론도 7할을 넘는다. 대통령 파면 전후 '계몽령·윤어게인·탄핵각하' 극성지지층에 기댔고, 계엄해제 투표와 탄핵반대 당론 철회도 거부한 친윤(親윤석열)계 중심 국민의힘은 지지이탈이 장기화할 전망이다.
지난 6월23일 윤석열 전 대통령이 서울 서초구 서울중앙지방법원에서 열린 내란 우두머리 혐의·직권남용 권리행사 방해 혐의 사건 8차 공판에 출석하고 있다.<사진공동취재단·연합뉴스>
25일 중앙선거여론조사심의위원회에 등록된 시사인 의뢰, 한국리서치의 '대선 사후 유권자 인식조사' 1·2차 결과자료(지난 4~5일·전국 성인남녀 2000명·표본오차 95% 신뢰수준 ±2.2%포인트·웹패널조사·패널 무작위추출로 설문발송 유효 5961명 중 2000명 답변해 응답률 33.6%·여심위 홈페이지 참조)를 보면 '지난해 12월3일 윤석열 전 대통령의 비상계엄 선포에 대해 어떤 의견인지' 묻자 '잘못됐다'는 의견이 82%, '정당했다'는 12%로 7배수 가까운 차이가 났다. '모르겠다'는 6%다.
이 조사에선 전체 응답자 중 96%(1920명)가 대선에 투표한 가운데 이재명 더불어민주당 전 대선후보 52%, 김문수 국민의힘 전 후보 37%, 이준석 개혁신당 전 후보 9%, 권영국 민주노동당 전 후보 2%, 송진호 전 무소속 후보 0% 순으로 높은 응답이 나왔다. 제21대 대선 실제 득표율은 이재명 현 대통령 49.42%, 김문수 전 후보 41.15%, 이준석 전 후보 8.34%, 권영국 전 후보 0.98%, 송진호 전 후보 0.1%순이었다. 대선 득표율에 비교적 근접한 응답자 분포로 현안 설문이 이뤄진 셈이다.
투표후보 중 '더불어민주당 이재명' 투표층(994명·이하 가중값 적용)은 97%가 비상계엄에 대해 '잘못', 1%만 '정당' 의견을 보였다. '개혁신당 이준석'(177명)에서도 '잘못' 91% 대 '정당' 3%로 극명했다. '국민의힘 김문수'(705명)의 경우 잘못된 계엄이란 의견이 59%로 비교적 낮았지만 넉넉히 과반이며, 정당하단 반론은 30%로 높아졌다. 응답자 이념성향별 진보층(604명)은 97% 대 1%, 중도층(627명)은 86% 대 7%, 보수층(748명)은 67% 대 25%로 계엄 '잘못'이 '정당'을 배 이상 앞섰다.
다음으로 12·3 비상계엄에 대해 '위헌이다' 의견이 71%, '위헌이 아니다'는 20%로 큰 격차를 보인 것으로 나타났다. '모르겠다' 9%다. 이재명 투표층은 '위헌이다' 93% 대 '아니다' 4%, 이준석 투표층은 76% 대 8%, 김문수 투표층은 39% 대 47% 순으로 나타났다. 또 진보층은 93% 대 4%, 중도층은 75% 대 14%로 위헌 의견이 평균대비 높고 보수층 51% 대 39%로 나타났다. 12·3 비상계엄이 윤 전 대통령이 재판을 받고 있는 '내란죄'에 해당한다는 의견은 소폭 더 줄었지만 여전히 대세를 이뤘다.
전체 응답자는 '내란죄에 해당한다' 67%, '내란죄로 볼 수 없다' 26%에 '모르겠다' 8% 순으로 높은 의견을 보였다. 이재명 투표층은 '내란죄 해당' 96% 대 '내란죄 아님' 2%로 위헌 문항보다 강하게 결집했다. 반면 이준석 투표층은 59% 대 22%로 내란죄 의견이 비교적 낮아졌고, 김문수 투표층은 내란죄 긍정이 28%에 그치고 부정이 61% 과반으로 앞섰다. 진보층은 93% 대 5%, 중도층은 75% 대 15%로 내란죄 긍정이 압도한 반면 보수층은 내란죄 부정이 과반인 52%에 긍정은 39%로 낮아 대조됐다.
중앙선거여론조사심의위원회 홈페이지에 6월20일자로 등록된 '시사인 대선 사후 유권자 인식조사' 두번째 결과표 내 설문 결과 갈무리.
내란죄 인정 여부를 떠나 탄핵심판 결과엔 여론 7할 이상이 수용했다. 윤 전 대통령이 탄핵소추 인용(파면)된 데 대해 전체 응답자 72%는 '잘한 결정', 20%는 '잘못한 결정'이라고 봤다(모르겠다 7%). 이재명 투표층은 파면 찬성 95%에 반대 3%, 이준석 투표층도 80% 대 9%로 극명한 분포를 보였다. 김문수 투표층의 경우 파면 반대가 49%로 약 절반, 찬성론은 39%에 판단 유보 12%로 나타났다. 진보층은 95% 대 4%, 중도층은 78% 대 12%, 보수층은 51% 대 41%로 파면 찬성이 모두 과반을 이뤘다.
이밖에 현안으로 '한국의 자유민주주의가 위기에 처해 있기 때문에 이를 구하기 위해 무력을 사용할 수도 있다'는 주장에 77%가 동의, 16%만이 부동의했다. '이번 대선 투개표 과정이 특정 후보에게 유리하도록 조작된 부정선거라고 의심하는지'엔 68%가 부동의, 19%만이 동의했다. 이재명 투표층은 '투표 이유'에서 이 대통령·민주당 호감이 60%대에 그친 반면 '정권교체를 위해'에 93%, '윤 전 대통령을 심판하기 위해' 91%, '비상계엄과 탄핵에 대한 이재명 후보 입장에 동의해서' 91%로 높은 공감을 보였다.
국민의힘에 대한 '12·3 비상계엄에 대해 명확하게 책임을 인정·사과해야 한다' 주장에 76%가 동의, 16%는 부동의했다. '윤 전 대통령과 관계 완전히 단절' 주장에 대해선 73%가 동의, 18%는 부동의했다. '계엄 옹호·부정선거 의혹 주장 세력과 완전히 단절' 요구엔 71%가 동의, 20%는 부동의했다. '친윤석열계 정치인에게 공천을 주지 말자'는 주장도 동의 68% 동의, 부동의 23%로 극명했다. '국민의힘은 내란 동조 세력'의 경우 동의 58%에 부동의 34%, '자발적 해산해야 한다'엔 동의 50%·부동의 39%로 격차가 줄었다.
조사 당시 지지정당은 더불어민주당 38%, 국민의힘 25%, 조국혁신당 7%, 개혁신당 7%, 진보당 2% 순이며 기타 정당 2%에 무당층(없음·모름) 19%로 나타났다.'향후 보수세력의 리더로 적합한 인물'은 한동훈 국민의힘 전 대표 18%, 이준석 전 후보 10%, 김문수 전 후보 9%, 홍준표 전 대구시장 8%, 오세훈 서울시장·안철수 의원 5% 동률, 한덕수 전 국무총리 2%, 원희룡 전 국토교통부 장관·나경원 의원 2% 동률, 전광훈 사랑제일교회 목사·황교안 전 무소속 대선후보 각 1% 순이다. 선명한 계엄반대·탄핵찬성파가 선두에 오른 셈이다. 국민의힘 지지층 내에서도 한동훈 28%, 김문수 20%, 오세훈 10%, 홍준표 9%, 이준석 8%, 나경원·한덕수 5% 동률 순으로 강성 친윤계가 뒤처졌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