자동차 업계가 미국 고율관세 등 통상 리스크 대응을 위한 제도적·재정적 지원을 촉구했다. 부품업계의 수익성 둔화, 투자 위축, 고용 불안 등 산업 생태계 전반의 불균형이 누적되고 있는 만큼 내수 활성화, 미래차 전환, 통상 대응, 인력 양성 등 전방위적인 정책 대응이 필요하다는 것이다.

강남훈 자동차모빌리티산업연합회(KAIA) 회장은 24일 오전 자동차회관 그랜저볼룸에서 열린 제42회 자동차모빌리티산업포럼 개회사를 통해 "미국과 유럽의 보호무역주의 강화, 중국의 미래차 주도권 확장, 글로벌 전기차 수요 둔화 등으로 수출 환경이 악화되고 있으며, 국내에서는 내수 회복세가 불안정한 가운데 생산기반이 흔들리고 있다"며 이같이 밝혔다.

이날 열린 포럼은 '신정부에 바라는 자동차산업 정책과제를 주제로 진행됐다.

첫 번째 주제 발표에 나선 조철 산업연구원 선임연구위원은 "전기차 중심에서 하이브리드·플러그인·주행거리 연장형 전기차(EREV) 등으로 수요가 다변화되는 상황에서 다양한 동력원 기술개발을 위한 전방위적인 연구개발(R&D) 투자 확대가 필요하다"고 진단했다.

김준기 한국자동차모빌리티산업협회 상무는 위기 극복과 미래 경쟁력 확보를 위한 정책과제로 국내생산 촉진세제 신설 등 세제지원 확대, 친환경차 보급 확대, 부품업계의 미래차 전환 지원, 통상리스크 대응, 자율주행 상용화를 위한 제도 정비, 협력적 노사관계 구축 및 노동유연성 개선, 미래 모빌리티 전문인력 양성 등을 제시했다.

김영훈 한국자동차산업협동조합 실장은 "글로벌 공급망 재편과 미국의 보호무역 조치에 대응하기 위해, 현지화 투자 확대와 제도적 인프라 지원이 병행되어야 한다"고 강조하며, 북미 진출기업에 대한 금융·보증지원 확대, KOTRA 연계 현지 애로 해소 창구 마련 등 대외 리스크 대응체계 마련을 제안했다.

임주희기자 ju2@dt.co.kr

자동차모빌리티산업연합회(KAIA)가 24일 오전 자동차회관 그랜저볼룸에서 '신정부에 바라는 자동차산업 정책과제'를 주제로 제42회 자동차모빌리티산업포럼을 개최했다. 사진은 참가자들이 기념촬영을 하는 모습. KAIA 제공
자동차모빌리티산업연합회(KAIA)가 24일 오전 자동차회관 그랜저볼룸에서 '신정부에 바라는 자동차산업 정책과제'를 주제로 제42회 자동차모빌리티산업포럼을 개최했다. 사진은 참가자들이 기념촬영을 하는 모습. KAIA 제공


[저작권자 ⓒ디지털타임스 무단 전재-재배포 금지]
임주희

기사 추천

  • 추천해요 0
  • 좋아요 0
  • 감동이에요 0
  • 화나요 0
  • 슬퍼요 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