천문연, 대형망원경으로 남반구 하늘 전체 관측 관측자료 실시간 제공..우주 밝기, 위치변화 등 확인 한국천문연구원은 세계 최대 남반구 전체 밤하늘 관측사업인 'LSST(차세대 시공간 탐사 관측)'를 수행하는 베라 C. 루빈 천문대(이하 루빈 천문대)가 첫 영상을 공개했다고 24일 밝혔다.
LSST는 칠레 중부에 위치한 루빈천문대에서 구경 8.4m의 탐사 전용 대형망원경인 시모니 서베이 망원경을 이용해 남반구 전체 밤하늘을 관측하는 사업으로, 미국과 칠레, 한국 등 전 세계 30여개 국가가 참여하고 있다.
시모니 망원경은 2015년부터 건설을 시작해 지난 3월 LSST 카메라를 설치한 이후 이번에 첫 번째 관측 영상을 공개했다. 특히 세계에서 가장 큰 디지털 카메라로 기네스 세계기록에 오른 LSST 카메라는 3.2기가 픽셀로, 보름달 45개가 들어갈 만큼 넓은 하늘 영역을 한 번에 관측할 수 있다.
LSST는 올해 하반기부터 본격적으로 남반구 하늘 전체를 6개의 광학 필터로 3∼4일마다 한 번씩 스캔하면서 10년 동안 관측할 계획이다. 이번에 공개된 영상은 모두 4개로 △우리은하에서 가까운 처녀자리 은하단 △새로 발견한 소행성 △별의 밝기가 변하는 변광성 관측 영상 △지구로부터 수천 광년 떨어진 성운의 기체와 먼지구름을 자세히 살펴볼 수 있는 석호성운과 삼엽성운 등이다.
특히 루빈 천문대는 10시간의 관측자료에서 2104개의 새로운 태양계 소행성을 발견했고, 이 중 7개는 위험하지 않은 지구 근접 천체인 것으로 밝혀졌다. 지상과 우주의 모든 관측시설을 통해 매년 2만개의 소행성이 발견되는 데, 루빈천문대는 LSST 탐사 관측 시작 후 2년 안에 수백 만개의 알려지지 않은 새로운 소행성을 발견할 것으로 예상된다.
LSST는 올해 하반기부터 본격적으로 남반구 하늘 전체를 6개의 광학 필터로 3∼4일마다 한 번씩 스캔하면서 10년 동안 관측할 계획이다.
관측한 대용량 자료는 실시간으로 처리돼 연구자들에게 공개됨으로써 천체의 밝기와 위치 변화 등 우주 변화를 빠르게 확인할 수 있을 전망이다. 또한 어두운 천체를 포함한 고해상도 우주 지도를 확보하고, 10년에 걸친 우주의 시계열 변화도 확인할 수 있게 된다.
한국 측 연구책임자인 신윤경 천문연 책임연구원은 "단기적인 관측이 아니라 10여 년에 걸쳐 우주에 일어나는 변화를 관측할 수 있어 우주에서 일어나는 현상을 타임랩스 영화처럼 볼 수 있게 될 것"이라고 말했다.
천문연은 LSST 자료접근권을 확보한 국내 유일한 기관으로서, 국내 연구자들에게 LSST 자료를 활용할 수 있는 기회를 제공할 계획이다.
브라이언 스톤 미국 국립과학재단(NSF) 디렉터는 "루빈 천문대는 현재까지 인류가 구한 우주에 대한 모든 광학 관측자료의 총량보다 더 많은 정보를 수집할 것"이라며 "암흑물질과 암흑에너지를 비롯한 우주의 다양한 비밀을 탐구할 예정"이라고 밝혔다.
이준기기자 bongchu@dt.co.kr
루빈천문대에 설치된 LSST가 관측한 '석호성운'과 '삼엽성운' 사진. 천문연 제공
루빈천문대에 설치된 LSST 카메라 모습. 천문연 제공
루빈천문대에 설치된 시모니 서베이 망원경(LSST)'이 관측한 처녀자리 은하단의 일부 사진. 천문연 제공