금융감독원은 '2025년 재무제표' 심사에서 투자자 약정 회계처리와 전환사채 발행·투자 회계처리, 공급자 금융약정 공시, 종속·관계기업 투자주식에 대한 손상처리 등 4가지 이슈를 중점 심사하기로 했다고 23일 밝혔다.

금감원은 매년 6월 중 회사·감사인이 재무제표를 작성하고 외부감사를 수행할 때 주의를 기울일 수 있도록 다음 해에 중점심사할 회계이슈를 사전에 안내한다.

금감원은 "투자자 약정 내용이 점점 복잡해지고 다양해지는 추세"라며 "전 업종을 대상으로 전환주식과 채무증권 발행 현황 등을 고려해 심사 대상을 선정할 계획"이라고 말했다.

재무제표 작성 시 주주·채권자가 투자를 계약하며 다양한 약정이 부가될 경우 기업의 의무가 있다면 금융부채로 분류해야 하는지를 확인하고 관련 내용을 주석에 충실하게 기재해야 한다.

예를 들어 A사의 종속기업이 기업공개를 추진하는 과정에서 전환우선주를 발행했고 인수인에 전환우선주 풋옵션을 부여했다면 A사는 해당 전환우선주를 자본이 아닌 금융부채로 인식해야 한다.

전환사채와 관련해서는 콜·풋옵션이 부여됐다면 파생 상품 회계처리에 유의하고, 특수관계자 거래와 담보 제공 등 주석 공시를 충실히 해야 한다.

다수의 공급자로부터 재화를 구매하는 기업이 공급자 금융약정을 이용하면 약정의 조건과 관련 장부금액 등을 주석에 상세히 기재해야 한다. 공급자 금융약정은 기업이 거래대금 융통을 위한 금융약정의 당사자가 되는 등 높은 수준으로 관여하는 것을 말한다.

이 밖에 당기순손실이 지속해 발생하는 기업의 경우 실적이 악화한 종속·관계기업과 관련해 합리적인 가정에 근거해 회수가능액을 산정하는 등 손상 검토를 충실히 수행해야 한다.

금감원 관계자는 "내년 이슈별로 대상 회사를 선정해 재무제표 심사를 실시하고 위반사항이 발견되면 엄정 조치하겠다"고 말했다.임성원기자 sone@dt.co.kr

금감원. [연합뉴스 자료사진]
금감원. [연합뉴스 자료사진]


[저작권자 ⓒ디지털타임스 무단 전재-재배포 금지]
임성원

기사 추천

  • 추천해요 0
  • 좋아요 0
  • 감동이에요 0
  • 화나요 0
  • 슬퍼요 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