이재명 대통령이 23일 취임 후 첫 수석·보좌관회의에서 국가 안보· R&D 예산 배분·소상공인 및 자영업자 대책·사법제도 개혁 등 11건의 현안을 보고받고, 경제·안보와 관련해 "좀 더 능동적이고 신속하게 관련 대책을 수립하라"는 지시를 했다고 대통령실이 밝혔다.
이규연 대통령실 홍보소통수석은 브리핑에서 "이 대통령은 실장이나 수석, 비서관뿐만 아니라 해당 실무자도 함께 회의에 참석해 촘촘하고도 신속한 대책을 세워 달라고 당부했다"면서 이같이 밝혔다.
이 수석은 "이 대통령은 R&D 예산 배분과 관련해서는 예산 집행의 효율성이 무엇보다 중요하다고 강조했다"면서 "이와 함께 연구 자율성을 높여 가라고 주문했다"고 설명했다.
이 수석은 "소상공인·자영업자 대책에 관해서는 '채무 부담을 줄여줄 수 있는 과감한 대책'을 주문했다"고 덧붙였다.
과거 수석·보좌관회의는 문재인 정부 청와대에서 진행됐으나, 윤석열 정부에서는 수석비서관 회의로 진행됐다. 특히 수석비서관 회의 경우 첫 회의만 공개하고 이후부터는 비공개로 진행됐다. 때문에 이재명 정부가 수석·보좌관회의로 회귀하고, 공개 일정으로 처리한 것을 두고 여러 해석이 나왔다.
대통령실 고위 관계자는 "수석만 참여하는 것이 아니고 그 외에 비서관들과 행정관급도 참여해서 촘촘하고 빠르게 관련 대책이 시달되도록 당부하고 강조했다고 볼 수 있다"고 했다.
이 관계자는 다만 이날 회의에서 구체적인 내용이 논의된 것은 아니라고 설명했다. 그는 "(보고된)그 부분은 지금 아주 초안이어서 밝히기가 좀 어렵다"면서 "오늘 수석·보좌관회의의 성격이 오늘 벌어진 일을 주로 다루는 것이 아니고, 각 수석실에서 추진하고 있는 주요 과제에 대한 얘기였다"고 설명했다.
또한 "2시간 가까이 진행된 회의에서 대통령은 각 수석실에서 보고하는 내용에 대해서 일일이 다시 묻고 답하는 과정을 반복했고, 첫 회의니까 여러 가지 당부 말씀이 있었다"면서 "다음 수석·보좌관회의 때 조금 더 밝힐 수 있을 것 같다"고 했다.
한편 이날 이 대통령은 중동사태에 대해서는 관련 대책을 예민하게 세워달라고 했고, 추경 관련 논의나 북대서양조약기구(나토·NATO)회의 대참자 등과 관련된 발언은 없었다고 부연했다.임재섭기자 yjs@dt.co.kr
이규연 홍보소통수석이 23일 용산 대통령실에서 대통령 주재 수석보좌관회의 관련 브리핑을 하고 있다. 연합뉴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