수출동향점검회의, 주요 품목별 수출 동향 및 리스크 점검
문신학 산업통상자원부 1차관. 산업부 제공
문신학 산업통상자원부 1차관은 23일 "미국의 이란 핵시설 공습으로 중동 정세가 새로운 국면에 접어들면서, 우리 수출입에 미치는 영향이 우려되는 상황"이라고 평가했다.
문 차관은 이날 수출동향 점검회의를 주재하며 "업종별 담당과 및 관련 기관들은 상황을 면밀히 점검해달라"고 밝혔다.
산업부에 따르면, 올해 1∼5월 수출은 2749억달러로 전년 동기 대비 0.9% 줄었다.
품목별로는 반도체, 무선통신기기, 컴퓨터(SSD) 등 IT 3대 품목과 선박, 바이오헬스 수출이 증가세를 보였다.
자동차의 경우 미국의 품목 관세 부과와 조지아 신공장 가동에 따른 공급 영향으로, 최대 시장인 미국에서 16.6% 줄며 부진한 흐름을 나타냈다.
다만 유럽연합(EU·13.2%), 중동(12.0%), 독립국가연합(CIS·52.5%) 등 일부 지역 수출이 늘면서, 전체 수출 감소 폭은 작년 동기 대비 2.5%에 그쳤다.
석유제품과 석유화학 수출 역시 유가 하락과 글로벌 수요 둔화의 영향으로 단가와 물량이 모두 줄며 크게 감소했다.
반면, 최대 수출 품목인 반도체는 메모리 고정가격 상승과 고대역폭 메모리(HBM), DDR5 등 고부가 메모리 수요에 힘입어 1∼5월 기준 역대 최대 실적을 기록했다.
문 차관은 "유사시 필요한 조치를 즉각 시행할 수 있도록 업무에 만전을 기해 줄 것"을 당부했다.
세종=강승구기자 kang@dt.co.kr

문 차관은 이날 수출동향 점검회의를 주재하며 "업종별 담당과 및 관련 기관들은 상황을 면밀히 점검해달라"고 밝혔다.
산업부에 따르면, 올해 1∼5월 수출은 2749억달러로 전년 동기 대비 0.9% 줄었다.
품목별로는 반도체, 무선통신기기, 컴퓨터(SSD) 등 IT 3대 품목과 선박, 바이오헬스 수출이 증가세를 보였다.
자동차의 경우 미국의 품목 관세 부과와 조지아 신공장 가동에 따른 공급 영향으로, 최대 시장인 미국에서 16.6% 줄며 부진한 흐름을 나타냈다.
다만 유럽연합(EU·13.2%), 중동(12.0%), 독립국가연합(CIS·52.5%) 등 일부 지역 수출이 늘면서, 전체 수출 감소 폭은 작년 동기 대비 2.5%에 그쳤다.
석유제품과 석유화학 수출 역시 유가 하락과 글로벌 수요 둔화의 영향으로 단가와 물량이 모두 줄며 크게 감소했다.
반면, 최대 수출 품목인 반도체는 메모리 고정가격 상승과 고대역폭 메모리(HBM), DDR5 등 고부가 메모리 수요에 힘입어 1∼5월 기준 역대 최대 실적을 기록했다.
문 차관은 "유사시 필요한 조치를 즉각 시행할 수 있도록 업무에 만전을 기해 줄 것"을 당부했다.
세종=강승구기자 kang@dt.co.kr
[저작권자 ⓒ디지털타임스 무단 전재-재배포 금지]
실시간 주요뉴스
기사 추천
- 추천해요 0
- 좋아요 0
- 감동이에요 0
- 화나요 0
- 슬퍼요 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