도널드 트럼프 미국 행정부의 강경한 관세 정책이 국내 보험산업 전반에 비용 상승 압력을 유발한다는 진단이 나왔다.
보험연구원 문제영·김가현 연구위원은 22일 '트럼프의 관세정책과 국내 보험산업' 보고서를 통해 "트럼프 행정부의 전면적 관세부과로 국제 경제의 불확실성이 고조된다"며 "한국을 포함한 주요 교역국의 수출 감소와 경기 둔화가 가시화됐다"고 분석했다.
연구원은 이로써 손해보험사는 자동차·건설·수출 등 관세 정책의 영향을 직접적으로 받는 산업 부문에 밀접하게 노출됐다고 설명했다. 비용 인상과 리스크 증가로 인해 손해율이 높아지고 자산관리에 어려움을 겪을 수 있다는 것이다.
자동차보험은 수입 부품의 가격 상승에 따른 수리비 증가로 손해율 상승으로 이어져 보험료 상승 압력을 유발할 것이라고 했다.
건설·화재보험은 철강·목재 등 주요 건축자재의 수입단가 상승이 공사비와 재건축 비용 증가로 이어질 것으로 봤다. 각종 사고 발생 시 보험금 규모가 확대돼 손해율 상승 요인으로 작용할 가능성이 있다고 지적했다.
생명보험사는 경기·금리 변동에 민감한 구조적 특성으로 인해 계약감소와 자산운용 수익률 저하, 지급여력(K-ICS·킥스) 비율 악화 등 복합적 리스크에 노출될 것으로 내다봤다.
경제 성장 둔화에 따른 실질소득 감소로 저축성보험 상품의 신규 계약 유입이 전반적으로 정체되고, 변액·연금보험 등 장기 투자성 상품의 수익률 하락으로 계약자 해지율 증가가 이어질 것으로 분석했다. 생보사의 유동성과 장기수익성에 부정적 영향을 미칠 가능성이 있다는 설명이다.
또 저성장으로 현재와 같은 금리 인하 기조가 장기간 지속하면 채권수익률이 하락하고, 확정금리형 상품의 역마진이 확대돼 생보사의 지급여력비율 하락을 유발할 것이라고 했다.
문 연구위원은 "보험사들은 고관세 부과 대상 산업과 수출 의존도가 높은 기업군에 대한 모니터링을 기반으로 인수심사기준과 요율 체계를 재정비해야 한다"며 "금리와 환율 변동성 확대로 인한 자산운용 어려움에 대비해 자산과 부채 간 듀레이션 매칭을 정교화하고 포트폴리오 다각화를 통해 부채의 금리 민감도를 완화해야 한다"고 제언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