서울 아파트 전셋값 상승세가 지속되면서 올해 2분기 전·월세 갱신계약 비중이 2022년 3분기 이후 최대치를 기록했다.
전·월세 가격 인상률을 5% 이내로 제한하기 위해 계약갱신요구권(계약갱신청구권)을 사용한 임차인의 비중도 대폭 상승했다.
22일 부동산R114가 2021년 6월 전·월세신고제 도입 이후 국토교통부 실거래가시스템에 신고된 서울 아파트 전월세 계약을 분석한 결과, 올해 2분기 서울 아파트 전·월세 갱신 계약 비중은 44.5%로 집계됐다. 2022년 3분기(45.4%) 이후 가장 높았다.
전·월세 갱신 계약 비중은 2020년 7월 말 계약갱신요구권, 전·월세상한제 등 '임대차2법' 시행 이후 4년 치 보증금을 한꺼번에 올리려는 집주인들로 전셋값이 급등하면서 2022년 3분기에 45.4%로 최대를 기록한 바 있다.
이후 금리 인상 등으로 전셋값이 하락하고 역전세난이 심화하며 갱신계약은 감소해 2023년 3분기에는 27.2%까지 줄었으나, 지난해부터 전셋값이 상승 전환했다. 지난해 1분기 31.0%로 30%대를 기록한 뒤 올해 2분기에 44.5%로 증가했다.
특히 올해 2분기 월세의 갱신계약 비중은 38.4%를 기록하며 신고제 도입 이후 가장 높은 비중을 차지했다.
전세의 갱신계약은 올해 2분기 48.8%로 2022년 3분기(52.9%) 이후 가장 높았다.
윤지해 부동산R114 리서치랩장은 "최근 전세의 월세 전환이 가팔라지고, 월세 가격이 지속적으로 상승하면서 신규 계약을 하기 보다는 기존 집주인들과 갱신 계약을 선호한 것으로 보인다"고 분석했다.한국부동산원 조사에 따르면, 서울 아파트 전셋값은 2023년 6월(0.12%) 이후 지난해 말까지 19개월 연속 상승했다. 지난해 말 전세자금대출 축소 등의 영향으로 올해 1월 일시적으로 보합을 기록했으나 이후 올해 5월까지 상승세가 이어지고 있다.
전셋값 상승세로 계약갱신요구권 사용 비중도 급증하는 추세다.
올해 2분기 서울 아파트 전월세 갱신계약 가운데 갱신권을 사용한 비중은 49.7%로 절반에 달했다. 이는 2022년 3분기 60.4% 이후 최대 비중이다.
전·월세 갱신권 사용 비중은 전셋값 하락 여파로 지난해 2분기 27.9%까지 감소했다가, 3분기 30.3%로 늘어났다. 이후 △4분기 42.0% △올해 1분기 48.1% △2분기 49.7%로 증가세를 보이고 있다.
갱신권을 사용하면 전·월세상한제가 발동하며 전셋값 인상률을 5% 이내로 제한할 수 있다. 전셋값 상승기에 재계약을 하면서 갱신권을 쓰는 임차인이 늘어난 이유다.
이 중 전세의 갱신권 사용 비중은 56.9%로 2022년 3분기(68.8%) 이후 가장 높은 것으로 집계됐다.권준영기자 kjykjy@dt.co.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