우리나라의 명목 국내총생산(GDP) 대비 가계부채 비율이 5년 만에 90%대에서 80%대로 내려갈 것으로 보인다. 다만, 최근 서울을 중심으로 아파트값이 가파르게 오르고 가계대출이 급속히 불면서 상당 기간 이어온 가계대출 비율 하락세가 곧 꺾일 수 있다는 우려도 함께 나온다.

22일 국제결제은행(BIS) 통계에 따르면, 지난해 말 기준 한국의 GDP 대비 가계부채 비율은 90.1%로, 전 분기(90.7%)보다 0.6%포인트(p) 낮아졌다. 이 비율은 지난 2021년 3분기 말 99.2%로 정점에 이른 뒤 내림세로 돌아섰다. 특히 2023년 3분기 말부터 5분기 연속 하락했다.

올해 1분기에는 비율이 더 낮아진 것으로 보인다. 실질GDP는 감소했지만 명목 GDP가 상당히 증가한 가운데 1~3월 가계부채 증가세가 비교적 완만한 수준을 유지했기 때문이다.

지난해 말보다 0.1%p만 넘게 하락해도 코로나19 팬데믹 직전인 2019년 말(89.6%) 이후 처음 90%를 밑돌게 된다.

하지만 한국의 가계부채 비율은 주요국과 비교하면 여전히 높다.

지난해 말 수치(90.1%)는 BIS 통계에 포함된 세계 44개국(유로 지역은 단일 통계) 중 다섯 번째로 높은 수준이었다.

스위스(125.4%)가 1위였고, 호주(112.1%), 캐나다(100.0%), 네덜란드(93.6%) 등이 뒤를 이었다.

조사 국가 평균(58.8%), 선진국 평균(67.0%), 신흥시장 평균(46.6%), 주요 20개국(G20) 평균(58.3%) 등보다 월등히 높았다. 우리나라 국제 순위는 2023년 3분기 말(94.5%) 6위에서 그해 4분기 말(93.6%) 5위로 오히려 상승한 뒤 같은 자리를 지키고 있다.

앞으로의 상황도 녹록지 않다. 2분기들어 전 금융권 가계대출이 급증하고 있기 때문이다.

전 금융권 가계대출은 지난 4월 한 달간 5조3000억원 늘어난 데 이어 5월 6조원으로 증가 폭이 더 확대됐다. 지난해 10월(6조5000억원) 이후 7개월 만의 최대 폭이었다.

더구나 6월에는 3단계 스트레스 총부채원리금상환비율(DSR) 규제 시행을 앞두고 막차 수요가 몰리고 있다.

가계부채 증가로 금융안정 우려될 경우 통화정책 여력을 제약하는 변수로 작용할 수도 있다. 한은은 앞서 지난해 8월 금융권 가계대출이 폭증하자 '실기론'을 무릅쓰고 금융안정을 고려해야 한다며 기준금리를 동결했다.

그 연장선으로 이창용 한은 총재는 지난 18일 기자설명회에서 "과도하게 유동성을 공급함으로써 기대심리를 증폭시키는 잘못을 범해서는 안 된다"며 신중한 태도를 유지했다. 주형연기자 jhy@dt.co.kr

연합뉴스
연합뉴스


[저작권자 ⓒ디지털타임스 무단 전재-재배포 금지]
주형연

기사 추천

  • 추천해요 0
  • 좋아요 0
  • 감동이에요 0
  • 화나요 0
  • 슬퍼요 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