계란값이 4년 만에 가장 높은 수준으로 오른 가운데, 대형마트가 가격 인상을 막기 위해 총력을 기울이고 있다. 납품가가 10∼20% 올랐음에도 이윤을 줄이면서 소비자 가격을 8000원 미만으로 유지하기 위해 최대한 인상을 막기로 했다.

22일 유통업계에 따르면 홈플러스는 특란 한 판 값을 2년 전부터 유지해 온 7990원으로 동결했다. 홈플러스 측은 이윤을 줄이면서 가격을 유지한다면서 당분간 현재 판매 가격을 유지한다는 방침이다.

납품가가 10% 이상 오른 이마트 역시 소비자 가격 인상을 지양하고 있다. 이마트의 특란 한 판 가격은 지난해 6월 7580원에서 현재 7980원으로 1년 새 400원(5.3%) 올렸다. 롯데마트는 대란 한 판 가격을 지난해 6월 7490원에서 현재 7990원으로 500원(6.7%) 인상했다.

최근 계란 가격은 무섭게 치솟고 있다. 축산물품질평가원 등에 따르면 지난달 평균 계란 소비자 가격은 특란 한 판(30개)에 7026원으로, 지난 2021년 7월 이후 4년 만에 7000원을 넘어섰다. 유통마진 등을 고려하면 대형마트들은 거의 수익을 내지 않는 셈이다.

대형마트들은 다만 일자별 계란 수급량이 작년의 80∼90% 수준으로 판매용 물량이 모자라지 않은 상황이라고 강조했다. 다만 판매 촉진을 위한 행사는 자제하는 분위기다. 대형마트 관계자는 "현재 계란값 체감도는 지난 2021년 고병원성 조류인플루엔자(AI)로 인한 살처분 당시에 버금가는 수준이지만 시장 공급 여건은 안정적인 편"이라고 설명했다.

이어 "최근 살처분 사례가 일부 발생했으나 2021년 대비 규모가 제한적이고 전체적인 수급 기반은 유지되고 있는 상황"이라고 덧붙였다.

농식품부는 계란 가격이 휴가철에 소비가 줄고 산란계 생산 기간을 평균 84주령에서 87주령으로 늘리면 점차 안정될 것으로 보고 있다. 대형마트들도 여름철 계란 소비 둔화와 병아리 입식 확대에 따른 물량 증가로 일시적 시세 하락을 기대한다.

그러나 평소에도 기온이 오르면 산란율이 떨어지고 오는 9월부터 산란계 마리당 사육 면적 최소 기준이 0.05㎡에서 0.075㎡로 50% 확대돼 시세가 오를 수 있다고 우려한다. 오는 8월까지 노계를 정리하고 더 많은 병아리를 입식하려는 농가가 많아 한동안 산란 축소가 불가피하다는 것이다.

계란 공급 부족 사태가 길어질 경우 대형마트 중 누가 먼저 가격을 올리지에 대한 '눈치 싸움'이 벌어질 것이라는 관측도 나온다.

대형마트들은 일반 판매용 계란 상품에 대해서는 현재까지 구매를 제한할 계획은 없다고 밝히면서, 등급란과 동물복지란 등 다양한 상품을 함께 운영해 소비자 선택의 폭을 넓히는 방법으로 공급 리스크를 분산한다는 방침이다. 이상현기자 ishsy@dt.co.kr



이마트 용산전 계란매대. 이마트 제공
이마트 용산전 계란매대. 이마트 제공


[저작권자 ⓒ디지털타임스 무단 전재-재배포 금지]
이상현

기사 추천

  • 추천해요 0
  • 좋아요 0
  • 감동이에요 0
  • 화나요 0
  • 슬퍼요 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