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네덜란드 코렌브뤼흐의 하멜 동상[헨드릭 하멜 박물관 홈페이지]](https://wimg.dt.co.kr/news/legacy/contents/images/202506/2025062202109919607007[1].jpg)
학계에 따르면 20일(현지시간) 영국 에딘버러에서 열린 유럽한국학회(AKSE) 총회에서 기존 헨드릭하멜상의 명칭을 AKSE상으로 바꾸는 안건이 표결을 거쳐 통과됐다. AKSE는 유럽 출신 연구자들이 주도하는 한국학 모임으로, 2017년부터 영어를 포함한 유럽 언어로 된 학술 논문이나 출판물 가운데 우수작을 선정해 2년에 한 번씩 상을 주고 있다.
네덜란드 동인도회사 소속 회계사 겸 서기였던 하멜은 상선 스페르버르호를 타고 일본으로 가다가 배가 난파한 끝에 제주도에 닿았다. 그는 13년간 조선에 억류됐다가 일본으로 탈출한 뒤 조선 생활 경험을 담은 일종의 산업재해 보고서를 썼다.
이 보고서는 유럽 각국에서 출간돼 선풍적 인기를 끌었다. 한국에서 '하멜 표류기'라는 제목으로 알려진 이 책에는 "조선 사람은 물건을 훔치고 거짓말하고 속이는 경향이 강하다"는 등 부정적 인상평이 담겼다.
하멜의 책은 200년 넘게 조선에 대한 유일한 기록으로 읽히면서 유럽에 한국을 널리 알렸지만 조선인은 야만적이고 거칠다는 이미지를 굳혔다는 평가도 있다. 이 때문에 학계 일각에서는 하멜의 이름을 딴 상을 제정한 게 유럽이 오리엔탈리즘의 시각에서 벗어나지 못했다는 증거라며 이름을 바꾸라고 학회에 수년간 요구해 왔다.
독일 베를린자유대 한국학과 이은정 교수는 "19세기까지 하멜의 책을 읽은 유럽 뱃사람들이 조선 근처를 지나갈 때 무서워서 항해 속도를 높였다는 기록도 나온다"며 "하멜은 기념할 대상이 아니라 비판적으로 봐야 할 대상"이라고 말했다.
김광태기자 ktkim@dt.co.kr
[저작권자 ⓒ디지털타임스 무단 전재-재배포 금지]
실시간 주요뉴스
기사 추천
- 추천해요 0
- 좋아요 0
- 감동이에요 0
- 화나요 0
- 슬퍼요 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