환경부·국립환경과학원, '배터리 순환이용 전문가 토론회'
환경부. 사진=자료DB
환경부. 사진=자료DB
환경부와 전문가들이 배터리 순환이용 활성화 방안에 대해 머리를 맞댄다.

환경부와 국립환경과학원은 23일 서울역 대회의실에서 배터리 순환이용 전문가 토론회를 연다고 22일 밝혔다. 이번 토론회에는 재활용과 제조, 완성차, 학계, 공공기관 전문가 60명가량이 참석해 정책과 기술, 제도 현안을 논의한다.

이차전지순환이용지원단은 '배터리 순환이용 활성화 방안'을 발표한다. 이 방안은 순환시장 조성, 자원 수급 안정화, 기술혁신, 전주기 관리 기반 구축 등을 담고 있다. 환경부는 이번 발표 때 과제별 실행안도 공개할 예정이다.

국립환경과학원은 재활용이 어렵지만 보급이 증가하는 리튬인산철(LFP) 배터리에 대한 경제성 평가 연구 현황을 소개한다. 해당 배터리는 가격은 낮지만, 회수할 수 있는 금속 가치가 낮아 기존 재활용 체계로는 경제성이 떨어진다. 환경부는 평가 결과를 바탕으로 제도 개선을 검토 중이다.

한국환경연구원은 황산니켈, 황산코발트 등 금속을 재생 원료로 인증하는 방법론과 국제 동향을 발표한다. 환경부는 이 결과를 토대로 내년 시범사업을 거쳐 2027년부터 배터리 재생 원료 생산인증 제도를 시행할 계획이다.

이 밖에 배터리 재활용 원료 확보와 수요 창출, 제도 정비 등 순환 산업 전반의 개선 과제도 다뤄진다.

김고응 환경부 자원순환국장은 "배터리 순환이용은 단순한 폐기물 관리가 아닌 미래 핵심 자원 확보 전략으로 접근해야 한다"며 "이번 토론회가 산업계, 학계와 정부간 협력을 강화하고, 지속가능한 순환경제 기반을 다지는 계기가 되길 바란다"고 말했다.

세종=원승일기자 won@dt.co.kr

[저작권자 ⓒ디지털타임스 무단 전재-재배포 금지]
원승일

기사 추천

  • 추천해요 0
  • 좋아요 0
  • 감동이에요 0
  • 화나요 0
  • 슬퍼요 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