이번 주 국내 주유소 휘발유와 경유의 주간 평균 가격이 6주 만에 상승 전환했다. 중동발 국제유가 상승세가 너무 빨리 반영되는 것 아니냐는 지적도 나온다.

통상 국제유가가 국내 주유소 석유제품 가격에 반영되기까지는 2~3주 가량 소요된다. 지난주부터 국제유가가 급등한 점을 고려하면 다소 빠르다.

21일 한국석유공사 유가정보시스템 오피넷에 따르면 6월 셋째 주(15∼19일) 전국 주유소 휘발유 평균 판매가는 직전 주 대비 ℓ 당 7.8원 오른 1635.5원이었다.

지역별로 가격이 가장 높은 서울은 전주 대비 12.8원 상승한 1709.4원, 가격이 가장 낮은 대구는 8.6원 오른 1598.8원으로 각각 집계됐다.

상표별 가격은 SK에너지 주유소가 ℓ 당 평균 1645.9원으로 가장 높았고, 알뜰주유소가 1602.2원으로 가장 낮았다.

경유 평균 판매 가격은 전주 대비 7.6원 오른 1498.2원을 기록했다.

이번 주 국제 유가는 이란·이스라엘 무력 충돌에 따른 중동 지정학 리스크 상승을 반영해 올랐다. 우리나라가 주로 원유를 수입하는 중동산의 가격 기준인 두바이유는 지난주보다 6.6달러 오른 74.7달러였다. 국제 휘발유 가격은 5.6달러 상승한 84.8달러, 국제 자동차용 경유는 9.6달러 오른 93.7달러로 집계됐다.

대한석유협회 관계자는 "지난 13일 이스라엘이 이란을 공습하면서 국제 유가가 급등했고 이후 오름세가 지속되고 있다"며 "다음 주 국내 유가에 이런 흐름이 반영돼 상승 압력이 상당할 것이고, 당분간 상승세가 지속될 전망"이라고 말했다. 김성준기자 illust76@dt.co.kr

이스라엘과 이란의 군사적 긴장이 고조되며 국내 유가도 상승세로 전환했다. 18일 서울 서초구 만남의광장 고속도로 휴게소 주유소에 기름값 안내판이 놓여 있다. [연합뉴스]
이스라엘과 이란의 군사적 긴장이 고조되며 국내 유가도 상승세로 전환했다. 18일 서울 서초구 만남의광장 고속도로 휴게소 주유소에 기름값 안내판이 놓여 있다. [연합뉴스]


[저작권자 ⓒ디지털타임스 무단 전재-재배포 금지]
김성준

기사 추천

  • 추천해요 0
  • 좋아요 0
  • 감동이에요 0
  • 화나요 0
  • 슬퍼요 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