강남3구(왼쪽)과 노도강의 신고가 거래 추이. 집토스 제공
강남3구(왼쪽)과 노도강의 신고가 거래 추이. 집토스 제공
올해 1월부터 4월까지 서울 '강남 3구(강남·서초·송파)의 신고가 거래 건수가 '노도강(노원·도봉·강북)'의 약 25배에 달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일각에서는 과거 문재인 정부 시절 부동산 폭등이 재현된 것 아니냐는 우려도 나오고 있다.

부동산 중개 플랫폼 집토스는 국토부 실거래 자료를 분석한 결과 지난 1∼4월 강남3구에서 기존의 신고가를 갈아치운 거래가 총 1633건으로 집계됐다고 20일 밝혔다.

이는 같은기간 노도강(65건)의 25배에 달한다.

분석 기간 전체 거래 중 신고가 거래가 차지하는 비율은 강남3구가 32.7%, 노도강이 2.8%로 나타났다.

강남3구는 아파트 거래 100건 중 30건 이상이 신고가를 쓴 반면, 노도강에서는 이런 사례가 100건 중 3건도 채 안되는 것이다.

국민평형(84㎡ 이상∼85㎡ 미만) 아파트의 평균 가격은 강남3구가 23억8370만원으로 직전 최고점인 2024년(21억4636만원) 대비 11.1% 상승했다.

반면 노도강은 평균 7억3662만원을 기록하며 직전 고점인 2021년(7억8042만원)보다 5.6% 하락했다.

올해 1∼4월 강남3구와 노도강 아파트의 평균 매매가 차이는 16억4천708만원으로, 강남3구가 223.6% 더 높다.

이 격차는 집값이 역대급 고점을 기록한 2021년 160.7%였으나, 4년 사이 62.9% 포인트 더 벌어지면서 양극화가 더 심화되고 있다.

다만 집토스 측은 "과거 사례를 볼 때 강남3구의 급격한 상승이 나타난 후에는 약 6개월 정도의 시차를 두고 노도강도 가격이 오르는 모양새를 나타낸다"고 분석했다.

집값이 상승했던 2019∼2020년 강남3구의 신고가 거래는 2019년 상반기 840건에서 하반기 4262건으로 407.4% 급증했다. 이후 2020년 상반기에는 1850건으로 전분기 대비 56.6% 줄었다.

반면 노도강은 2019년 상반기(564건)에서 하반기(1826건) 신고가 거래가 223.8% 늘었고, 2020년 상반기(2979건)에도 63.1% 늘며 신고가 거래가 꾸준히 증가한 바 있다.

집토스 측은 "과거 지역별 상승의 '6개월 시차' 패턴과 최근 시장에서 감지되는 반등 움직임을 고려할 때, 단기적으로 비강남권 지역은 전고점 수준을 회복하는 방향으로 움직일 가능성이 높다"고 분석했다.

이상현기자 ishsy@dt.co.kr

[저작권자 ⓒ디지털타임스 무단 전재-재배포 금지]
이상현

기사 추천

  • 추천해요 0
  • 좋아요 0
  • 감동이에요 0
  • 화나요 0
  • 슬퍼요 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