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제롬파월 미 연방준비제도 의장. [연합뉴스]](https://wimg.dt.co.kr/news/legacy/contents/images/202506/2025061902109963033003[1].jpg)
최근 물가지표가 추가 금리인하에 우호적인 환경을 조성하고는 있지만, 노동시장이 아직 견조하고 도널드 트럼프 행정부의 관세정책이 경제에 어떤 파급효과를 미칠지 불확실한 상황에서 당분간 신중한 입장을 유지할 필요가 있다는 것이다.
트럼프 대통령이 제롬 파월 연준 의장을 상대로 공개적인 금리 인하 압박을 지속하는 가운데, 통화정책을 둘러싼 불확실성이 지속되고 있어 조기 금리 인하 가능 여부를 둘러싼 전문가들의 관측도 엇갈리고 있다.
이번 연준의 4번째 금리 동결 결정의 핵심 배경은 트럼프 행정부의 관세 정책이 불러올 인플레이션 반등에 대한 우려다.
최근 발표된 물가지표만 보면 관세발 인플레이션 조짐은 아직은 크게 감지되지 않고 있다. 지난주 발표된 5월 소비자물가지수(CPI) 상승률은 전년 동월 대비 2.4%에 머물렀고, 뒤이어 발표된 5월 도매물가도 전월 대비 0.1% 오르는 데 그치며 관세 영향이 제한적이었다.
반면 5월 소매판매는 전월 대비 0.9% 하락하는 등 실물지표에서 경기 둔화 신호가 점차 감지되는 분위기다.
최근 경제지표만 떼어놓고 보면 연준이 즉각적인 금리 인하에 나서지 않는 게 오히려 이상해 보일 수 있을 정도의 우호적인 경제 여건이다. 그러나 최근 물가지표의 개선에도 불구하고 트럼프 행정부의 관세정책 지속 시 미국 내 물가 영향이 조만간 본격적으로 드러날 것이란 게 전문가들의 대체적인 분석이다.
골드만삭스는 미국의 물가 상승률이 올해 말 4%에 육박할 것으로 예상하면서, 관세 영향이 반등분의 절반 정도를 차지할 것으로 내다봤다.
아드리아나 쿠글러 연준 이사는 지난 5일 "인플레이션 상방 리스크가 지속되는 한 금리를 현 수준으로 유지하는 것을 계속 지지하게 할 것"이라고 말해 연준 내에서도 고용악화 위험보다는 물가상승률 위험을 좀 더 무겁게 보는 시각이 있음을 드러냈다.
최근 이스라엘과 이란 간 분쟁 격화로 중동 지역 지정학적 위기감이 고조되면서 국제유가가 급등한 것도 연준의 통화정책 고민을 복잡하게 하는 요인이 되고 있다.
관세 정책이 경기침체를 불러올 것이란 우려에도 불구하고 미국의 노동시장이 견조한 모습을 유지하는 것도 연준이 '관망 모드'를 지속할 수 있는 여유 시간을 벌어주고 있다.
미 노동부 발표에 따르면 5월 미국의 비농업 부문 취업자 수는 전월 대비 13만9000명 증가해 시장 예상을 넘었고, 실업률은 4.2%로 낮은 수준을 유지했다.
트럼프 행정부의 관세정책이 노동시장에 부정적 영향을 미칠 것이란 우려와 달리 노동시장은 견조한 모습을 유지하고 있다는 게 전문가들의 대체적인 평가다.
노동시장 악화가 가시화되지 않은 상황에서 연준 위원들로선 인플레이션 상승 위험을 무릅쓰고 금리 인하 결정을 서두를 이유가 없는 셈이다.
연준 위원들은 이날 수정 경제전망 발표에 반영한 연내 금리인하 횟수를 2회로 3월 전망 때와 동일하게 유지했다. 연준 위원들은 이 같은 인하 횟수 전망을 작년 12월부터 유지해오고 있다.
유니크레디트의 토비아스 켈러 애널리스트는 투자자 노트에서 "최근 미국 노동시장의 회복력은 중앙은행이 금리를 조정(인하)하기 전 정부정책 변화 및 그에 따른 경제 영향이 더 뚜렷해질 때까지 상황을 기다릴 여유가 있음을 의미한다"고 평가했다.
트럼프 대통령이 파월 연준 의장을 상대로 정치적 압박을 지속하는 가운데 통화정책을 둘러싼 경제 불확실성 탓에 조기 금리 인하 가능 여부를 둘러싼 전문가들의 관측도 엇갈리는 분위기다.
트럼프 대통령은 연방공개시장위원회(FOMC)의 금리 결정이 나오기 전인 이날 오전 취재진을 만난 자리에서 "연준에는 솔직히 멍청한(stupid) 사람이 있다. 그는 아마도 오늘 (기준금리를) 내리지 않을 것이다. 유럽은 10차례나 내렸는데 우리는 한 번도 안 했다"고 파월 의장을 직격했다.
파월 의장은 통화정책 결정이 정치적 영향을 받지 않는다고 강조해왔지만, 월가 일각에선 트럼프 행정부가 '그림자 의장'을 임명해 통화정책 기조 변화를 꾀할 수 있다는 의구심이 여전히 남은 상황이다.
주형연기자 jhy@dt.co.kr
[저작권자 ⓒ디지털타임스 무단 전재-재배포 금지]
실시간 주요뉴스
기사 추천
- 추천해요 0
- 좋아요 0
- 감동이에요 0
- 화나요 0
- 슬퍼요 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