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과학기술 중심의 국가 혁신 성장 체제 구축에 크게 기여할 것"
하정우 대통령실 AI미래기획수석은 19일 이재명 대통령이 국무회의에서 의결한 이공계지원 특별법과 관련해 "이번 시행령 개정은 초중등생, 대학생, 대학원생, 신진, 중견, 고경력으로 이어지는 이공계 전 주기 인재에 대해 촘촘히 지원할 수 있는 근거를 만들어 이공계 인재 육성을 위한 국가의 책무를 강화하는 데 그 의미가 있다"고 소개했다.

하 수석은 이날 서울 용산 대통령실에서 취재진과 만나 "(이번 개정안은) 과학기술 인재 육성 체계를 보다 효과적으로 만들어 과학기술 중심의 국가 혁신 성장 체제 구축에 크게 기여할 것"이라고 설명했다.

하 수석이 설명한 이공계지원 특별법의 주요내용은 첫째로 초·중생들이 수학·과학 과목에 보다 쉽게 접근해 학습 의욕을 고취할 수 있도록 하고, 이공계 대학 진학을 촉진할 수 있도록 다양한 콘텐츠 문화를 확산하는 활동지원에 대해 규정하는 내용이 포함됐다.

또한 이공계 대학생과 대학원생이 양질의 교육을 받을 수 있도록 첨단기술 및 융합 분야 인재 양성 근거, 학위 과정 통합 활성화, 이공계 대학 연구 체계 혁신, 기업 수요 맞춤형 교육 강화, 연구 생활 장려금 관련 규정 등 맞춤형 지원 근거를 마련하는 내용도 담겼다. 이 과정에서 그간 불안정한 상태에서 연구를 할 수밖에 없던 박사후연구원, 소위 포닥(Post-Doc)에 대한 지원 근거도 명확히해 이공계 인재로 육성될 인재를 전주기에서 지원하겠다는 게 하 수석의 설명이다.

대통령실은 이들의 안정된 연구 환경 조성을 위해 대학 및 연구기관마다 제각각인 지원 기준을 통일하는 표준 지침 제작에 착수했는데, 하 수석은 해당 지침이 채용, 경력 개발 지원, 창의적 도전적 연구 지원, 연구 몰입 환경 조성 등의 사항을 포함해 제작될 예정이라고 소개했다.

'핵심 인재'로 꼽히는 고경력 과학기술인에 대한 지원근거도 신설된다고 밝혔다. 이들에 대한 처우 개선을 통해 첨단과학기술로 세계를 이끌수 있도록 하겠다는 설명이다.

한편 하 수석은 민간의 AI전문가이면서 이재명 정부에 깜짝 합류해 주목받았다. 하 수석은 "사실 저조차도 요청을 받았을 때 상당히 많은 고민을 했었다"면서도 "지금 인공지능이 전 세계의 국가 경쟁력을 좌우하고, 국가 미래의 어떤 조망을 좌우하는 시기인 것 같다"고 합류 이유를 밝혔다.

하 수석은 "인공지능이라고 하는 게 연구 개발 수준이 아니라 어떻게 산업화가 되고, 어떻게 가치를 만들어내고, 또 어떻게 사회 제도를 만들어내고 하는 것들과 잘 연결이 돼서 결국 생태계를 얼마만큼 탄탄하게 만드느냐, 그런 역량들이 국가의 미래를 결정하게 된다는 생각을 하게 됐다"면서 "제가 부족하지만 기여할 수 있는 바가 있다고 생각했다"고 설명했다.

하 수석은 "앞으로 3년 동안, 혹은 길면 5년 동안이 어쩌면 인공지능 시대에 굉장히 중요한 골든타임이 될 수 있을 것"이라며 "제가 가지고 했던 경험·역량들을 충분히 활용해서 우리나라가 조금 더 인공지능 경쟁력을 강화할 수 있는 데 기여할 수 있다면 큰 의미가 있겠다는 생각으로 들어오게 됐다"고 설명했다.임재섭기자 yjs@dt.co.kr
하정우 AI미래기획수석이 19일 용산 대통령실에서 이공계특별법 관련 브리핑을 하고 있다. 연합뉴스.
하정우 AI미래기획수석이 19일 용산 대통령실에서 이공계특별법 관련 브리핑을 하고 있다. 연합뉴스.


[저작권자 ⓒ디지털타임스 무단 전재-재배포 금지]
임재섭

기사 추천

  • 추천해요 0
  • 좋아요 0
  • 감동이에요 0
  • 화나요 0
  • 슬퍼요 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