李 "한미동맹이 기본, 그 위에 한미일 협력" 여야가 19일 이종석(사진) 국가정보원장 후보자에 대한 국회 인사청문회를 열고 후보자를 검증했다. 야당인 국민의힘에서는 이 후보자의 대북·안보관을 중점에 두고 압박 질의를 진행했다.
이 후보자는 이날 청문회에서 "'자주파 6인'이라고 불리는데 자주의 의미가 무엇인가"라고 물은 권영세 국민의힘 의원에게 "한 나라가 주권국가답게 당당하게 사는 것"이라고 답했다.
그러면서 "저는 20년 전에도 보수 쪽에서는 '자주파'라고 비난했고, 진보 쪽에선 '동맹파'라고 비난했다"며 "어차피 국익에 따라서 대통령을 모시고 일을 보면 양쪽을 다 가게 되는 것이다. 동맹파도 자주파도 아니고 실익을 따라 왔다"고 강조했다.
그는 대미 관계에 대해서는 "당연히 결정하는 과정에서 독자적으로 하는 부분도 있지만 오늘날 세계는 협력해야 한다"며 "그런 점에서 한미 동맹이 가장 기본적인 우리의 바탕이고 그 위에 한미일 협력이 있고, 주변 국가관계를 관리하는 것이 이재명 정부의 정책적 방향"이라고 언급했다.
야당에서는 이 후보자가 그간 북한 관련 업무를 주력하며 북한과의 화해·협력을 강조해온 친북파 인사라는 점에 우려를 표했다. 송언석 국민의힘 의원은 이 후보자의 과거 발언 등을 언급하며 "성향이 너무나 친북적이라는 얘기를 여기저기서 많이 한다"며 "이런 분이 국정원을 이끄는 수장이 됐을 때 국정원이 과연 대한민국을 지키는 기관으로 기능을 할지 아니면 북한의 대남 연락 사무소 기능을 하는 그런 곳으로 전락할지 이런 것들을 걱정하게 된다"고 비판했다.
이같은 발언이 나오자 더불어민주당 의원들이 강하게 반발했다. 김영진 민주당 의원은 송 의원의 발언에 대해 "국정원장 후보자를 대남연락소장으로 지칭하는 건 도저히 수용할 수 없는 것"이라며 "윤석열 내란수괴 보호 연락소장, 이렇게 부르면 좋아하겠나"고 송 의원을 향해 사과를 요구했고, 이를 송 의원이 거부하면서 양당 의원들 간 잠시 고성이 오가기도 했다.
김 의원을 비롯한 민주당 의원들은 윤석열 전 대통령의 비상계엄 과정에서 국정원이 관여된 상황을 언급하며 맞섰다.
김 의원은 "(비상계엄과 관련해)비화폰 내역이 삭제된 경위나 지급규칙을 어기고 비화폰이 지급된 점에 대해 제도 개선이 필요하다"고 주장했다. 윤건영 의원도 "(국정원이) 불법 내란에 관여된 것으로 의심받는 정황들이 있다"며 "조태용 전 국정원장에 대한 조사가 필요하지 않나"고 강조했다.그러자 권영세 의원은 "이미 특검이 임명돼 수사 중이니까 특검 쪽에 전적으로 맡기고 국정원은 자료제출과 수사협조가 현명한 방법이 아니겠나"고 반박했고, 이 후보자는 "특검에서 하는 것이 가장 기본"이라면서 "국정원도 내부에서 조직을 정리하는 과정에서 살펴보는 정도는 해야 하지 않을까 판단한다"고 답했다.전혜인기자 hye@dt.co.kr
이종석 국가정보원장 후보자가 19일 서울 여의도 국회 정보위원회에서 열린 인사청문회에서 발언하고 있다. 연합뉴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