김민석 국무총리 후보자가 19일 서울 영등포구 꿈더하기 사회적협동조합에서 열리는 발달장애인 일자리 현장 간담회에 앞서 종사자들의 작업현장을 둘러보고 있다.<연합뉴스 사진>
재산 관련 의혹이 불어나고 있는 김민석 국무총리 후보자에 대해 국민의힘은 사퇴를 압박하며 총공세를 퍼붓고 있다. 이에 맞서 더불어민주당은 총력 방어에 나선 모양새다.
국민의힘이 김 후보자에 대해 10대 결격사유 등을 제시하며 "인사청문회가 아닌 수사 대상"이라고 공세를 펴고 있는 가운데 이종배 국민의힘 서울시의원은 19일 서울중앙지검에 김 후보자에 대해 뇌물수수, 정치자금법 위반, 조세포탈 등 혐의로 고발장을 제출했다.
앞서 국회 인사청문특위 국민의힘 의원들은 지난 18일 "김 후보자의 2020년 5월 재산은 마이너스(-) 5억8000만원 거액의 빚밖에 없었다. 최근 5년간 공식 수입은 세비 5억1000만원이 다인데 지출은 최소 13억원"이라며 "추징금 6억2000만원을 냈고 신용카드·현금 2억3000만원을 썼으며 기부금 2억원을 냈다. 5년치 월세로 최소 5000만원, 국제고를 다니고 미국 코넬대 유학한 아들 학비만 최소 2억원"이라고 문제를 제기했다.
이들은 "(김 후보자는) 5년간 자신이 공식으로 번 돈보다 8억원이나 더 썼다"고 추궁했다. 김 후보자의 올해 신고 재산은 2억1500여만원으로 8억원대 재산 증식이란 지적도 있었다.
김 후보자의 배우자 이모씨가 2023년 7월~올해 2월 영업한 베이커리 카페의 창업비용·임차료 추정액과 부부의 2023~2024년 신고재산(전년 말 기준), 카드·헌금 지출 등을 대조하면 '1억원 이상 재산 출처가 불투명하다'는 의혹도 제기됐다.
김용태 국민의힘 비상대책위원장이 19일 국회 본청에서 열린 '비리백화점 이재명 정부 인사청문회 대책회의'에서 발언하고 있다.<연합뉴스 사진>
김용태 비대위원장은 이날 당 '비리백화점 이재명 정부 인사청문회 대책회의'에서 김 후보자의 1억4000만원 사적 채무에 대한 '불법정치자금 후원자 강신성씨 포함 11명에게 동일 형식 차용증' 의혹을 재차 지적했다. 아들에 대해서도 "고교 시절 동아리 아이디어가 국회 법안으로 발의됐고 대학생이 돼 만든 단체는 김민석 의원실 명의로 국회 세미나까지 열었다. 대학 등록금은 연 9000만원"이라고 추궁했다.
김 후보자가 본교 출석이 요구되는 2009년 9월~2010년 7월 중국 칭화대 법학 석사과정을 이수한 경위도 야당은 다시 꼬집었다. 2010년초 민주당 최고위원 및 부산시장 예비후보 활동 기간 중 수료가 가능했는지, 주 2~3회 중국을 오간 게 맞는지 '출입국 기록'을 요구한 것이다. 인사청문특위·법제사법위 소속 국민의힘 의원들은 이날 정부과천청사를 찾아 법무부 출입국 외국인정책본부에 관련 자료를 요구했다.
동시에 김 후보자 자진사퇴를 요구해온 새미래민주당도 이날 대변인 논평을 통해 "(의원시절) 후원회장이었던 강씨 회사에 '6억원 무이자 대출'해준 사람도 김 후보자의 채권자(1000만원씩 빌린 9명 중 1명)였다"고 날을 세웠다. 김 후보자 모친 소유의 빌라에 인연이 있는 건설업자가 전세를 든 경위를 두고도 "허름한 빌라 하나를 두고 어머니·배우자·장모가 뒤섞인 수상한 거래도 포착됐다"고 지적했다.
여야는 오는 24~25일 청문회 일정은 잡았지만 증인 채택에 난항을 겪고 있다. 더불어민주당은 김 후보자에게 12·3 비상계엄 내란 관련 질문을 해야 한다며 윤석열 전 대통령 내외, 한덕수 전 국무총리 내외 등을 청문회 증인으로 요구했다. 국민의힘은 김 후보자가 '자녀 유학비 관련 지출은 전처에게 일임했다'는 취지로 대응한 데 대해 이혼한 전 배우자와 '자금 의혹' 강신성씨 등을 불러야 한다고 요구하고 있다.
민주당은 강하게 반발했다. 진성준 정책위의장은 이날 당 정책조정회의에서 "(야당은) 한참 전 가짜로 판명된 투서까지 다시 꺼내 공격하고 있다. 후보자 본인을 넘어 자녀의 고교시절 교외활동까지 문제삼는다. 후보자 부인에 이혼한 전 부인까지 증인 채택해야 한다고 주장한다"며 "흠집내기"로 규정했다. 이어 "청문회 본래 목적과 기능을 회복할 인사청문회법 개정을 빠르게 추진할 것"이라고 예고했다
전현희 최고위원도 이날 페이스북을 통해 "인사 검증이 아니라 흡사 윤석열 정권 정치검찰의 망신주기식 묻지마 수사를 방불케 한다"며 "국민의힘의 패륜적 정치 공세에 분노를 금할 수 없다"고 했다. 김 후보자 전처 증인 신청 등에 대해 박경미 대변인은 "가족의 아픈 상처를 파헤쳐 물어뜯으려는 패륜적 정치공세가 참혹한 수준"이라며 "인사청문회장을 진흙탕을 넘어 뻘밭으로 만들려는 비열한 정치를 멈추라"고 논평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