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성과를 화폐적으로 정확하게 측정하고 세제혜택 등 금전적 인센티브가 주어진다면 기업이 더 많은 사회적 가치를 창출할 것입니다."

최태원(사진) SK 회장은 19일 서울 여의도 콘래드 호텔에서 개최된 세계경제포럼 슈왑재단 총회에서 "선한 의지만 있다고 사회문제가 해결되는 것은 아니다"라며 이 같은 내용의 '사회적 가치 거래 방안'을 제안했다.

최 회장은 이어 "시장 메커니즘을 활용해 사회적 가치를 거래 가능한 가치로 파악할 수 있다면 시장 시스템은 더 활발하게 움직일 수 있다"며 "이윤 창출과 사회혁신을 동시에 이룰 수 있을 것"이라고 강조했다.

개회식에서는 세계경제포럼 슈왑재단과 최 회장이 이사장을 맡고 있는 사회적가치연구원의공동 보고서 '가치의 재정의: 성과기반금융에서 사회적 가치 거래로'가 발표됐다. 이는 세계 최초로 주류 경제를 대상으로 해 사회적 가치 거래의 필요성과 가능성을 제안하는 보고서다.

이날 발표된 보고서의 '사회적 가치 거래'는 긍정적인 사회성과를 거래가능한 자산으로 전환하고 이를 통해 시급한 사회문제를 해결하는 시장 메커니즘을 의미한다. 이는 기업이 사회문제를 해결하면 해당 성과를 화폐적으로 측정하고 일정 부분에 대해 어떤 형태로든 크레딧을 제공하고 교환하는 시장 시스템이다.

예를 들면 정부는 사회문제를 해결한 기업에 대해 직접 보상하거나 세액공제·세액공제권 거래제도를 지원할 수 있고, 기업은 기존 비즈니스 모델에 사회문제 해결 요소를 넣고 성과에 따라 경제적 보상을 받아서 기업의 경제적 가치를 높일 수 있다. 시장 참여자들은 그런 기업의 성과를 시장 가치로 인정하고 사고 팔 수도 있고 금융상품으로 만들 수도 있다.

쉽게 말해 사회적 가치로 돈을 벌 수 있는 새로운 시장이 생기는 것이라고 보고서는 설명했다.

이 경우 정부는 사회문제 해결을 위한 직접 세출을 줄일 수 있고 기업의 혁신적인 아이디어를 활용할 수 있다. 기업은 사회문제 해결에 자원을 투입하면서도 기업가치로 인정받을 수 있고 시장에서 그 성과를 거래할 수 있기 때문에 비즈니스 성과로 연결할 수 있다. 투자자들은 새로운 투자수익을 찾아낼 수 있다. 사회 전체적으로는 더 많은 사회문제가 해결되는 후생효과를 기대할 수 있다. 최 회장은 지난 2013년 세계경제포럼에서 '사회성과인센티브(SPC)' 개념을 제안했다. 이는 '사회문제 해결 성과에 기반한 금융지원' 방법을 의미한다.

이후 SK는 2015년부터 지금까지 약 10년간 한국의 사회적 기업을 대상으로 사회문제 해결 성과를 측정하고 현금 인센티브를 주는 '사회성과인센티브' 프로젝트를 진행했다. 10년간 이 프로젝트에 참여한 사회적 기업은 500여개, 이 기업들이 창출한 사회문제 해결 성과는 약 5000억원, 이 기업들에게 SK가 보상으로 지급한 인센티브는 약 700억원이다.장우진기자 jwj17@dt.co.kr

최태원 SK그룹 회장. SK 제공
최태원 SK그룹 회장. SK 제공


[저작권자 ⓒ디지털타임스 무단 전재-재배포 금지]
장우진

기사 추천

  • 추천해요 0
  • 좋아요 0
  • 감동이에요 0
  • 화나요 0
  • 슬퍼요 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