서울 아파트값 상승으로 한국은행의 추가 기준금리 인하가 당초 예상보다 늦어질 수 있다는 분석이 나왔다.

18일 금융권에 따르면 김진욱 씨티 이코노미스트는 최근 보고서에서 "서울 아파트 가격이 연율 기준 10% 넘게 상승했다"며 "이는 금융안정 관점에서 한은이 용인하기 어려울 수 있다"고 밝혔다. 씨티는 이달 둘째 주 기준 서울 아파트 가격 상승률의 4주 이동평균치가 0.185%로, 이를 연간으로 치면 10.2%에 달한다고 말했다.

한국부동산원이 발표한 이달 둘째 주(9일 기준) 주간 아파트 가격 동향에 따르면 서울 아파트 매매 가격은 전주보다 0.26% 올랐다. 지난해 8월 넷째 주(8월 26일 기준, 0.26% 상승) 이후 40주 만에 최대 상승 폭이다.

서울 아파트 가격 상승률은 5월 첫째 주만해도 0.10%를 밑돌았으나 둘째 주 0.10%. 셋째 주 0.13%, 넷째 주 0.16%에 이어 6월 첫째 주 0.19% 등으로 가파르게 높아지고 있다.

김 이코노미스트는 "한은이 올해 8월과 11월, 내년 2월에 각각 0.25%포인트(p)씩 인하하면서 기준금리가 연 1.75%까지 내려갈 것으로 전망한다"면서도 "주택가격이 추가로 상승한다면 다음 금리 인하 시점은 8월에서 10월로 늦춰질 수 있다"고 예상했다.실제로 한은은 지난해 가계부채 급증을 이유로 8월 기준금리를 동결하고, 10월에야 인하하기도 했다.주형연기자 jhy@dt.co.kr

[저작권자 ⓒ디지털타임스 무단 전재-재배포 금지]
주형연

기사 추천

  • 추천해요 0
  • 좋아요 0
  • 감동이에요 0
  • 화나요 0
  • 슬퍼요 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