올해 들어 해외여행 수요에 여행자보험 계약 건수는 증가세를 보였다. 특히 항공기·수하물 지연비용 관련 지급 보험금은 3배가량 증가한 것으로 나타났다.

18일 손해보험업계에 따르면 여행자보험 취급사 10곳(삼성·카카오·KB·메리츠·한화·흥국·AXA·NH농협·현대·캐롯)의 올 1~4월 여행자보험 신계약 건수는 114만2468건으로 집계됐다. 이는 지난해 동기(82만2545건) 대비 38.9% 늘어난 수준이다.

신계약 건수는 지난해 275만건으로, 코로나19 팬데믹 기간인 2022년(64만건)과 2023년(175만건) 등 매년 크게 늘어나는 추세다. 올 4월까지 신계약 약 114만건 중 해외 여행자보험 신계약은 111만6375건, 국내의 경우 2만6093건으로 해외 신계약 증가율(39.6%)이 국내(15.3%)보다 높았다.

연령별로 30대(44.7%), 40대(42.3%), 20대(40.0%), 50대(37.1%), 60대(23.5%) 등 전 연령대에서 고른 증가율을 나타냈다. 담보별로 보험금 지급액이 가장 많은 것은 해외여행 중 발생한 상해·질병으로 해외 체류 중 받은 치료비(해외 실손의료비)였다.

올 4월까지 해외 실손의료비는 50억1162만원으로 지난해 같은 기간(42억6221만원)보다 17.6% 증가했다. 이 기간 해외 실손의료비 지급 건수는 1만2949건에서 1만3698건으로 늘었다. 1건당 지급보험금도 32만9000원에서 36만6000원으로 늘었다.

해외 실손의료비 다음으로 많이 지급된 항목은 휴대품 손해(38억1882만원)였다. 이는 1년 전(31억1680만원) 대비 22.5% 증가한 수준이다.

가장 증가율이 높은 항목은 항공기· 수하물 지연 비용이었다. 올해 1만4656건에 12억7669만원 지급됐다. 지난해 같은 기간 5887건(4억4188억원) 대비 금액 기준도 약 3배로 증가했다.

최근 보험사들은 항공기 지연 지수형 특약 등 보장 혜택을 강화하고 있다. 삼성화재, KB손해보험 등 보험사들은 올해부터 항공기 지연 지수형 특약을 도입했다. 지수형 보험은 사전에 정한 지수(Index)가 특정 조건을 충족하면 약정한 보험금을 지급하는 구조다. 보험금 청구가 간편하고 지급이 빠르다. 카카오페이손해보험은 비행기가 2시간만 지연돼도 보상하며 지연 자동 알림 서비스도 제공한다.

임성원기자 sone@dt.co.kr

[연합뉴스 자료사진]
[연합뉴스 자료사진]


[저작권자 ⓒ디지털타임스 무단 전재-재배포 금지]
임성원

기사 추천

  • 추천해요 0
  • 좋아요 0
  • 감동이에요 0
  • 화나요 0
  • 슬퍼요 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