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연합뉴스]](https://wimg.dt.co.kr/news/legacy/contents/images/202506/2025061802109963079007[1].jpg)
'분상제'는 공공택지 등 일정 요건을 갖춘 지역에서 공급되는 주택의 분양가를 정부가 정한 산정 기준 이하로 제한하는 제도다.
분상제가 적용되면, 일반적으로 주변 시세보다 낮은 수준으로 분양가가 책정돼 시세차익에 대한 기대감이 높아진다. 실제로 일부 단지에선 시세차익 규모가 수억원대까지 치솟아 '청약 쏠림' 현상이 나타난다.
18일 부동산 플랫폼 '직방'이 올해 전국에서 분양한 72개 단지의 1순위 청약 경쟁률을 분석한 결과, 분상제가 적용된 22개 단지의 평균 경쟁률이 26.2대 1로, 분상제가 적용되지 않는 그 외 50개 단지의 평균 경쟁률(4.0대 1)보다 6배 이상 높은 것으로 집계됐다.
올해 서울에서 분양한 분상제 단지 중 하나인 서울 서초구 방배동 '래미안 원페를라'는 151.6대 1의 경쟁률을 기록했다.
강남권 입지조건에 인근 시세 대비 30% 이상 낮은 분양가로 책정되면서 수요자들이 몰린 것으로 보인다.
고덕 강일 택지지구 내 마지막 민간 분양단지인 '고덕강일대성베르힐'의 경우 실거주 5년 의무 조건이 붙었음에도, 시세보다 낮은 분양가로 큰 인기를 끌었다. 평균 97.4대 1의 경쟁률을 기록했다.
전국에서 가장 경쟁률이 높았던 단지는 경기 하남시 교산지구에 위치한 '교산 푸르지오 더퍼스트'다. 201가구 공급에 5만2920명이 몰리며 1순위 경쟁률이 263.3대 1에 달했다.
서울 송파구와 인접한 지역이어서 서울 생활권 이용이 쉬우면서도 전용면적 59㎡ 분양가가 5억원대라는 점이 인기 비결로 꼽힌다.
충북 청주테크노폴리스 내 마지막 분양 단지인 '청주테크노폴리스 아테라2차'도 109.7대 1의 경쟁률을 나타냈으며, 고양창릉 S-5블록은 96대 1을 기록했다.
![[연합뉴스]](https://wimg.dt.co.kr/news/legacy/contents/images/202506/2025061802109963079007[2].jpg)
실제로 부천, 양주 등에 공급된 일부 단지는 청약이 미달되는 현상이 나타났다.
직방 관계자는 "분상제를 통해 가격 경쟁력을 확보하더라도 입지조건과 지역 수요, 생활 인프라 등 복합적인 요인이 청약 결과를 좌우한다"고 말했다.
7월부터 입주자모집공고가 이뤄지는 단지부터는 스트레스 총부채원리금상환비율(DSR) 3단계가 적용된다. 무순위 청약 신청 자격이 무주택자로 제한되는 제도 개편으로 청약시장도 진입장벽이 높아질 것이라는 전망이 나온다.
직방 관계자는 "앞으로는 규제 영향과 가격 조건에 따라 청약 수요가 더욱 선별적으로 움직이는 흐름이 뚜렷해질 것"이라고 내다봤다.
권준영기자 kjykjy@dt.co.kr
[저작권자 ⓒ디지털타임스 무단 전재-재배포 금지]
실시간 주요뉴스
기사 추천
- 추천해요 0
- 좋아요 0
- 감동이에요 0
- 화나요 0
- 슬퍼요 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