지난 2월26일 국회 본청에서 열린 더불어민주당 최고위원회의에서 이재명 당시 대표(현 대통령)와 김민석 수석최고위원(현 국무총리 후보자)이 준비된 '경제위기 상황판'을 함께 올려다 보고 있다.<더불어민주당 홈페이지 사진 갈무리>
이낙연(NY)계 새미래민주당은 이재명 대통령이 지명한 김민석 국무총리 후보자의 재산 관련 의혹 대응을 두고 "아내팔이, 곤궁팔이, 종교팔이, 감성팔이로 일관하는 '왕팔이'"라며 이재명 대통령의 지명철회 또는 자진사퇴 요구를 거듭했다.
김양정 새민주 수석대변인은 18일 논평에서 김민석 후보자를 겨냥 "속속 드러나는 여러 의혹에 적극 해명하는 대신 '실핏줄이 터진 아내의 눈'을 언급하면서 '동정 프레임'에 시동을 걸었다"며 이같이 말했다. 그는 "언제부터인가 우리 정치권에 '아내팔이'가 유행이 됐다. 잘못을 저지른 인사들이 은근슬쩍 아내를 내세워 '감성팔이'를 한다"며 "임기 내내 '아내 지키기'에 올인했던 윤석열 전 대통령"에 먼저 빗댔다.
또 "지난해 이 대통령(당시 더불어민주당 대표)도 재판에 출두하는 아내를 향한 '혜경아. 미안하다. 반지 꼭 해 줄게'란 내용의 절절한 글을 대대적인 언론 플레이에 활용했다. 이번엔 김 후보자"라고 했다. 아울러 "또 하나 눈에 띈 대목은 '종교팔이'다. 지금까지 살아내고 버텨온 게 '하나님과 국민의 은혜'라면서, 후보자의 경제적 상황을 볼 때 도무지 상식적이지 않은 '2억 헌금' 논란을 얼렁뚱땅 넘겼다"고 말했다.
두차례 정치자금법 위반 처벌로 총 9억원대 추징금을 납부해오며 신고재산이 2020년 마이너스(-) 6억원대까지 기록했었지만 약 2억원 기부금 지출이 동반되는 등 '씀씀이 논란'이 인 점을 가리킨 셈이다. 김 후보자는 '-1억4000만원 사적 채무'를 포함한 2억1500만원대 재산을 신고했다. 김양정 수석대변인은 "오랜 후원회장이 '자금 저수지'가 아니냐는 의혹엔 야인 시절 어려움을 설명하며 '곤궁팔이'를 했다"고 짚었다.
또 "불법 정치자금 수수로 법적 판단을 받은 것은 '검찰의 표적수사 때문'이라고 내내 '억울팔이'를 하고 있다"며 "정치하는 내내 '돈 문제'가 끊이지 않은 후보자가 과연 총리란 공적 위치에 적합한가"라고 반문했다. 이어 "SNS에 '감성팔이'로 여러 의혹들을 퉁치고 있다"며 "아내도 팔고, 종교도 팔고, 경제적 곤궁도 파는 '감성팔이'로 시간을 보내다가, 청문회 이틀도 적당히 얼버무리면서 버티면 된다는 심산인 듯하다"고 의심했다.
초대 총리 인준을 가정해선 "정지된 '사법리스크왕' 이재명과 현재진행형 '팔이왕' 김민석의 브로맨스는 이재명 정권의 '도덕성'과 직결된다"라며 "대통령이나 총리나 도긴개긴이란 비난"을 받을 것이라고 했다. 그는 "이 정도로 줄줄이 이어지는 의혹을 안은 채 총리에 임명된 사례는 일찍이 없었다"며 "대한민국 국무총리는 김 후보자가 욕심낼 자리가 아니다. '짠한 아내'를 위하는 '부끄럽지 않은 사내'로만 남으라"고 사퇴를 요구했다.
지난 4월30일 새미래민주당이 여의도 한양빌딩 당사에서 개최한 제21대 대선 중앙선거대책위원회 1차 회의에 참석한 김양정 당 수석대변인이 선대위 공보단장으로서 공개발언을 하고 있다.<새미래민주당 제공 사진>
김연욱 당 선임대변인도 이날 논평에서 "김 후보자는 '정치자금 스폰서' 역할을 했던 강신성씨와 수년간 끈질기게 금전 거래를 이어오고 있다. 강신성씨는 김 후보자의 (전)후원회장이자 나란히 (더불어민주당 흡수 이전 원외 '민주당') 비례대표 1·2번을 받은, 정치적 운명을 함께 했던 사람이다. 김 후보자는 강씨로부터 (2007년말) 불법정치자금 2억5000만원을 받아 2010년 유죄(두번째 정치자금법 위반)가 확정됐다"고 지적했다.
그는 "그런데 (김 후보자는) 2018년 그 동일인물(강씨)에게 4000만 원을 또다시 빌렸다. 이쯤 되면 '차용인지 정치자금인지' 모를 지경"이라며 "정권과 국정을 함께 꾸릴 총리 후보자가 불법정치자금 제공자와 수년간 돈을 주고받으며, 법정 추징금조차 그에게 의존한 관계였다면, 그건 청문회 대상이 아니라 사퇴 사유다. 유죄 판결을 받은 '스폰서 정치인'을 총리로 내세우는 건, 도덕성 타격이 아니라 국정 신뢰 파괴행위"라고 했다.
이어 "총리는 국가 곳간을 책임지고 공직윤리를 수호해야 한다. 스폰서에게 추징금·생활비 받고 사무실까지 빌린 사람에게 어떻게 국정을 맡기냐"며 "김 후보자가 총리가 된다면 정치자금 브로커의 장기고객인 '스폰서 총리'란 비아냥을 들을 수도, 이재명 정권은 '범죄 브로맨스 공동정부'로 불릴 수도 있다. 이런 오명을 뒤집어 쓰기 싫다면 김 후보자는 지금이라도 스스로 물러나는 게 남은 최소한의 정치적 양심"이라고 쏘아붙였다.
한편 김연욱 선임대변인은 전날(17일)에도 해외순방 중인 이재명 대통령이 김 후보자의 채무·재산 검증에 대해 "그냥 의혹에 불과하다"고 반응한 데 대해 "오광수 전 대통령실 민정수석은 단지 의혹 제기만으로도 5일 만에 사퇴했다"고 받아쳤다. 그는 대통령실의 빠른 사표 수리와 대조해 "총리는 다르단 말이냐"며 "국민은 대통령이 '그냥 의혹'으로 생각하며 덮으려는 걸 바라지 않는다. 분명한 해명과 책임있는 철회를 요구한다"고 했다.
또 "김 후보자의 석사학위 편법 취득 의혹, 채무와 재산 증식, 아들의 아빠찬스 논란은 이미 많은 언론이 구체적 정황과 자료로 제기한 사안"이라며 "'그냥 의혹'으로 넘기고 '설명하면 된다'는 입장은 청문회를 '면죄부' 수단으로 삼겠단 것"이라고 주장했다. 나아가 "여러 차례 당선과 낙선을 오가며 불투명한 자산 형성을 거친 인물을 지명한 건 대통령 자신이 강조한 '통합' 등 국정운영 기준을 총리 인선부터 정면 위반한 것"이라고 꼬집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