SKT 뉴스룸 제공.
SKT 뉴스룸 제공.
SK텔레콤이 사이버 침해 사고를 악용한 피싱 및 스미싱 시도가 일부 확인되고 있다며 주의를 당부했다.

18일 SK텔레콤은 자사 뉴스룸에서 사이버 침해 사고와 관련해 발송하는 모든 공식 문자의 발신 번호는 114이고, 차세대 문자 전송 서비스(RCS) 지원 안드로이드폰에는 '공식 인증 마크'가 있다고 밝혔다. 단, 유심 교체 예약을 한 경우 예약하신 매장 번호로 교체 일정 등 안내 문자를 발송할 수 있다.

SKT에 따르면 '유심 해킹', '악성 앱 감염' 등과 같은 문구를 포함해 가족이나 정부 기관, SK텔레콤을 사칭해 개인정보를 탈취하려는 시도가 일부 발생하고 있다. 주로 전화나 문자를 통해 "SK텔레콤 해킹 피해 여부를 점검해 주겠다"는 식으로 접근하거나 가족을 사칭해 유심을 교체해야 한다며 원격 제어 앱 설치를 유도하기도 한다.

SKT는 "어떤 경우에도 원격 제어 앱 설치를 요구하지 않는다"며 "이런 요구는 단호히 거절해 금융 피해 등이 발생하지 않도록 주의해 주시기 바란다"고 밝혔다.

SKT는 고객 피해 방지를 위해 회선 개통 및 문자, 전화, 인터넷 등 서비스별로 사이버 범죄에 대한 대응 시스템과 서비스를 운영하고 있다. 문자 스팸 필터링, 음성 스팸 및 보이스 피싱 번호 차단, 불법·유해 사이트 접속 차단이 대표적이다.

이와 함께 SKT는 "사이버 침해 사고 직후 스팸 피해 예방을 위해 범죄 대응 시스템을 더욱 강화해 운영하고 있다"고 덧붙였다.

[저작권자 ⓒ디지털타임스 무단 전재-재배포 금지]
김나인

기사 추천

  • 추천해요 0
  • 좋아요 0
  • 감동이에요 0
  • 화나요 0
  • 슬퍼요 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