전국 공동주택 5채 중 1채는 준공된 지 30년이 넘은 노후주택인 것으로 나타났다. 노후주택 개발을 위한 대안 마련이 시급하다는 지적이 나온다.

부동산R114는 정부의 '공동 주택관리 정보시스템'을 분석한 결과 전국에 30년을 초과하는 노후주택이 22%(지난 6일 기준·260만6823가구)를 차지했다고 17일 밝혔다.

전국 노후주택 비율은 지난해 12월 말 18%(219만4122가구)에서 약 6개월 만에 4%포인트(p) 상승했다.

지역별로 보면 대전이 35%로 노후주택 비중이 가장 큰 것으로 집계됐다. 뒤이어 △서울(29%) △전남(27%) △전북(26%) △인천·울산(각 25%) 순이었다.

대전은 지난 1991~1994년 준공 물량이 몰렸던 서구 둔산동과 월평동 중심으로 노후화가 뚜렷했다.

서울은 노원구 상계·중계동, 양천구 신정동, 강서구 가양동, 도봉구 창동 등에서 노후주택 비중이 높았다.

부동산R114는 2026~2027년 신축아파트 입주 물량이 2015~2024년의 연평균 물량(36만가구)을 밑돌 것으로 전망했다. 2027년에는 노후아파트가 전국에 약 80만가구에 달할 것으로 내다봤다. 멸실되는 주택 수를 감안하더라도 노후주택 비중 확대가 불가피하다고 진단했다.

부동산R114 관계자는 "노후주택 비율이 높아지면 인구 유출 등으로 도시 경쟁력이 저하될 우려도 커진다"면서 "지방 등 개발 여건이 취약한 지역에 대한 정책 차등화, 사업성 보완을 위한 행정 및 재정적 지원 등이 병행될 필요가 있다"고 말했다.

그는 "새 정부 또한 노후도심 정비사업 규제 완화를 통해 구도심 주거환경 개선과 공급확대 기조를 내비치고 있는 만큼 속도감 있는 사업 추진의 기대감이 높다"며 "다만 공공과 더불어 민간 참여 도시재생사업의 원활한 진행을 위해서는 사업성 확보의 우려가 높은 지역을 중심으로 추가적인 대안이 요구된다"고 덧붙였다.

권준영기자 kjykjy@dt.co.kr

[연합뉴스]
[연합뉴스]
2024~2025년 지역별 노후주택 비중 그래프(위쪽)와 연도별 전국 30년 초과 공동주택 비중 그래프. [부동산R114 제공]
2024~2025년 지역별 노후주택 비중 그래프(위쪽)와 연도별 전국 30년 초과 공동주택 비중 그래프. [부동산R114 제공]


[저작권자 ⓒ디지털타임스 무단 전재-재배포 금지]

관련기사

권준영

기사 추천

  • 추천해요 0
  • 좋아요 0
  • 감동이에요 0
  • 화나요 0
  • 슬퍼요 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