G7 정상회의 참석차 캐나다 향하는 전용기 안 즉석기자간담회서 "모두에게 도움 되는 상호 호혜적 결과 만들어 내도록 노력" 이재명 대통령은 16일(현지시간) 미국과의 관세 협상 목표에 대해 "최소한 다른 국가에 비해 더 불리한 상황에 처하지 않도록 하는 것이 중요한 과제일 것"이라고 말했다.
주요 7개국(G7) 정상외교 참석을 위해 캐나다로 출발한 이 대통령은 캐나다로 향하는 전용기 내에서 즉석 기자 간담회에서 "협상이라는 것이 변수가 워낙 많아 뭐라고 단정하기는 어렵다. 여러 조건이 겹쳐 있기 때문에 (협상에) 최선을 다할 것"이라면서도 이같이 말했다.
이 대통령은 "우리 기업인들도 '다른 나라와 동일한 조건이라면, 똑같은 경쟁인데 해볼 만하지 않나'라는 말씀을 하더라"면서 "그 얘기를 듣고 나니 마음이 편해졌다"고 말했다.
이어 "외교라는 게 한쪽만 이익이 되고 다른 쪽에 손해가 되는 것도 바람직하지 않다"면서 "모두에게 도움이 되는 상호 호혜적 결과를 만들어내도록 노력해야 한다"고 말했다.
이 대통령은 또한 이번 해외 순방이 취임한지 열흘 여 만에 이뤄진 것에 대해서는 "당초 생각과 다르게 참여하게 됐다"고 설명했다. 이 대통령은 "당초에는 국내 문제도 많은 만큼 불참할 것을 많이 고려했다"면서 "국제사회에 대한민국이 정상화됐다는 것을 보여줄 필요가 있다는 의견도 있었다"고 했다.
취임한 지 며칠 되지 않아 국제회의에 참석하는 것에 무리가 있지만, 국제 사회와 협력할 분야 또한 많은 만큼 다소 무리하더라도 국제 사회와 일찍 접촉하는 게 낫다고 판단했다는 것이다. 이 대통령은 "기회가 된다면 'G7+'에 포함되기 위한 노력도 해야 할 것"이라는 말도 했다.
이 대통령은 "당연히 정상외교도 지금보다 활발히 해야 한다"면서 "국가안보실장에게도 정상외교를 지금보다 더 높은 단계로 강화하라고 지시했다"고 설명했다.
이 대통령은 "앞으로 국제 경쟁도 심각해지고, 특히 이재명 정부에서 민생과 경제를 매우 중시하고 있기 때문에 통상 국가인 대한민국은 국제 관계를 잘 발전시켜야 기업의 해외 진출도 더 원활해질 수 있다"면서 "경제영토 확장이라는 의미에서 문화산업이나 새로운 산업 영역에서의 국제 협력을 강화할 필요가 있다. 오히려 그쪽의 비중을 점점 높여야 되지 않을까, 생각한다"고 강조했다.
이 대통령은 "대한민국은 세계 10대 경제 강국이자 5대 군사 강국, 문화적으로도 선진국"이라며 "잠시 후퇴가 있긴 했지만 신속하게 종전의 위상을 회복하고 이에 더해 세계를 선도하는 국가로 나아가야 한다"고 설명했다.임재섭기자 yjs@dt.co.kr
51차 주요 7개국(G7) 정상회의에 참석하는 이재명 대통령이 16일(현지시간) 캐나다 앨버타주 캘거리국제공항에 도착해 김혜경 여사와 공군 1호기에서 내리고 있다. 연합뉴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