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AI·디지털전환 혁신기업 해외실증 지원사업' 2025년도 선정 컨소시엄 현황. 과기정통부 제공
'AI·디지털전환 혁신기업 해외실증 지원사업' 2025년도 선정 컨소시엄 현황. 과기정통부 제공
과학기술정보통신부는 국내 인공지능(AI) 솔루션 보유기업들이 헬스케어, 제조, 교육, 농·축산 등 4대 분야 해외 현지 기업·기관에서 솔루션을 실증할 수 있도록 지원하는 'AI·디지털전환 혁신기업 해외실증 지원사업'에 올해 참여할 8개 컨소시엄을 선정했다고 17일 밝혔다.

올해 신설된 이 사업은 글로벌 AI전환(AX) 시장 확대에 발맞춰 해외 진출을 희망하는 국내 스타트업들이 실증 레퍼런스를 확보할 수 있도록 현지 수요처 발굴·연결 및 실증비용 등을 지원하는 사업이다. AX 수요가 클 것이라 예상되는 4개 분야에서 각 2개의 '수요처-국내기업' 컨소시엄을 선정·지원하는 방식으로 추진된다.

국내 정보통신 스타트업 해외 진출 지원기관인 글로벌디지털혁신네트워크(GDIN)가 지난 3월 21일부터 약 3주간 해외 현지 실증 수요처를 사전 모집·발굴했다. 이들과 매칭할 국내기업 선정을 위해 4월 21일부터 5월 12일까지 실시한 공모에 총 57개사가 지원해 7:1의 경쟁률을 보였다.

선정평가에는 해외 수요처 관계자 및 외부 전문가 등이 참여해 지원기업들이 제시한 과제별 실증 적합성과 사업화 가능성 등을 종합적으로 심사했다. 유럽·북중미·아시아 등 다양한 지역의 공공기관·대학·민간기업을 아우르는 수요처와 국내기업을 연계한 이하 8개 컨소시엄을 최종 선정했다.

선정된 국내기업들은 이달 13일 사업 수행기관(GDIN)이 주관하는 오리엔테이션에 참여했다. 이번 주부터 협약 체결 후 실증과제 이행에 본격 착수해 솔루션 개발과 현장 테스트를 비롯한 검증 등을 연말까지 완료할 예정이다.

박태완 과기정통부 정보통신산업정책관은 "AI의 발전·확산으로 전 산업 분야의 AX가 본격화됨에 따라 국내 유망 AI기업에도 세계 시장을 선점할 기회가 열린 상황"이라며 "그간 기업들이 해외 실증 지원 필요성을 지속 제기해온 만큼, 본 사업을 통해 적시에 해외 현지 레퍼런스를 확보해 글로벌 시장을 선점해나갈 수 있도록 적극 지원하겠다"고 말했다.팽동현기자 dhp@dt.co.kr

[저작권자 ⓒ디지털타임스 무단 전재-재배포 금지]
팽동현

기사 추천

  • 추천해요 0
  • 좋아요 0
  • 감동이에요 0
  • 화나요 0
  • 슬퍼요 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