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강제 구독의 시대' 표지. <전호겸 저자 제공>
'강제 구독의 시대' 표지. <전호겸 저자 제공>
한때 기업들은 제품을 '판매'하는 것이 목표였지만, 이제는 '구독'을 통해 고객과 지속적인 관계를 구축하고 장기적인 가치를 창출하는 것이 핵심 전략이 되었다. 구독경제는 기업에 안정적인 매출을 보장하고, 소비자에게는 경제성, 편리함, 맞춤형 혜택을 제공한다. 여기에 AI 기술이 접목되면서 구독경제는 더욱 진화하고 있다. 기업들은 AI를 활용해 소비자 맞춤형 서비스를 더 정교하게 만들고 새로운 가치를 창출하여 시장 경쟁력을 확보하고 있다. 이제 우리는 단순한 소비 패턴이 아니라, AI 기반의 개인화된 구독 시대에 살고 있다. 한마디로 AI 시대의 구독경제는 기업의 생존 및 지속 성장 전략이자, 소비자에게 보다 합리적이고 지속적인 혜택과 편리함을 제공하는 새로운 소비 기준인 것이다.

2024년 10월 기준, 챗GPT를 개발한 오픈AI의 전체 매출 중 75%는 소비자 구독에서 발생했다. 생성형 AI라는 전례 없는 기술이 등장하자 사람들은 최첨단 기술에 그야말로 열광했다. 하지만 최고의 AI 기업이 선택한 비즈니스 모델, '구독'에는 별 관심을 기울이지 않았다. 구독경제의 최고 권위자 전호겸 센터장은 묻는다. "세계 최고의 AI 기업은 왜 '구독'을 핵심 비즈니스 모델로 선택했는가?"

그 이유는 간단하다. 구독만이 소비자의 데이터를 확보하고, 사용자를 '락인(lock-in)'하며, 불황에도 흔들리지 않는 수익을 만들어내는 비즈니스 모델이기 때문이다. 오픈AI의 뒤를 이어 줄줄이 론칭하는 다른 AI 툴들도 하나같이 비즈니스 모델로 '구독'을 택했다. 기술 못지않게 중요한 건, 그 기술을 반복 소비하게 만드는 구조다. 간단하게 말하자면 바로 기업과 소비자를 연결하는 '구독 생태계'다.

AI와 함께 '구독'은 산업 전반을 뒤엎는 핵심 키워드가 되고 있다. CES 2025에서 삼성전자와 LG전자는 나란히 구독경제를 강조했다. 쿠팡과 네이버는 연일 소비자의 이목을 끄는 온갖 멤버십 혜택들로 구독자 '락인 전략'을 펼치고 있다. 전기 자동차 기업 테슬라도 소프트웨어인 완전자율주행 기능을 월 99달러의 구독 서비스로 제공한다. 이제 구독은 특정 범위에 국한되지 않는다. AI, 가전, 모빌리티, 헬스케어, 인공위성, 심지어 지역 소상공인 서비스까지 모든 산업이 '구독화'되고 있다.

'강제 구독의 시대는 기술의 발전과 함께 나타나는 구독경제의 핵심 구조를 낱낱이 파헤친다. 구독을 기반으로 한 AI의 ID 경제, 소프트웨어와 하드웨어를 넘나드는 하이브리드 구독 모델 그리고 대체 불가능한 구독 기업이 벌이는 구독플레이션까지. 생성형 AI 시장의 40배, 디지털 광고 시장의 2배 규모인 '구독경제 시장'. 이 거대한 흐름 속에서 다가올 혁신을 경험하고 한발 앞서 시장을 읽는 인사이트를 얻어보자.박상길기자 sweatsk@dt.co.kr

[저작권자 ⓒ디지털타임스 무단 전재-재배포 금지]
박상길

기사 추천

  • 추천해요 0
  • 좋아요 0
  • 감동이에요 0
  • 화나요 0
  • 슬퍼요 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