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이런 리스크는 에너지 수입 의존도가 높은 한국에 직접적인 영향을 미친다. 한국은 원유 수입의 70% 이상을, 액화천연가스(LNG) 수입의 30% 이상을 중동에 의존하고 있다. 그중 상당 부분이 호르무즈 해협을 경유한다. 만약 이 해협의 통행이 차단되거나 해상 물류가 마비될 경우, 국내 정유사와 발전소의 연료 수급에 큰 지장이 불가피하다. 이는 산업생산 차질과 물가 상승으로 이어져 국가경제 전반에 복합적 충격을 야기할 것이다. 가뜩이나 한국의 소비자물가는 식료품과 외식 부문에서 큰 폭의 상승을 보이고 있다. 여기에 에너지 가격까지 요동친다면 서민 경제에 미치는 충격은 상상을 초월할 것이다.
우리가 이 사태를 어떻게 바라보고 대비하느냐에 따라 충격의 크기와 피해 정도는 천양지차가 될 수 있다. 정부는 즉각적으로 에너지 수급에 대한 비상대응 체계를 가동해 리스크 관리 방안을 마련해야 한다. 비축유 방출, 에너지 절약 캠페인 강화, 공급선 다변화 등 기본적인 대응과 함께, 안전한 원유 수송 확보를 위한 외교적 협상을 병행해야 할 것이다. 중동 내 주요 산유국과의 고위급 채널을 적극 가동하고, 국제사회와의 공조를 통해 해상운송 안전망을 재확립하는 데 집중할 필요가 있다. 동시에 이번 사태는 우리 에너지 전략의 구조적 취약성을 다시 한번 환기시킨다. '에너지 독립'이 곧 국가의 자립이다. 재생에너지와 원전 등 대체에너지 육성을 위한 정책적 결단 또한 요구되는 시점이다.
[저작권자 ⓒ디지털타임스 무단 전재-재배포 금지]
실시간 주요뉴스
기사 추천
- 추천해요 0
- 좋아요 0
- 감동이에요 0
- 화나요 0
- 슬퍼요 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