한진이 신규 소규모 셀러를 유치하기 위해 더 낮은 요율을 적용하는 프로모션을 시작했다.
회사는 수도권과 주요 도시에 '주 7일 배송' 시범 운영을 시작하는 등 택배 사업의 경쟁력을 한층 끌어올리는 중이다.
15일 업계에 따르면 한진은 자사의 택배 서비스 플랫폼 '원클릭 프로(PRO)'에서 신규 계약 고객을 대상으로 더 낮은 요율로 계약할 수 있는 프로모션을 진행 중이다.
대상 고객은 월 500박스 이상 1999박스 이하를 출고할 신규 계약 고객으로, 요율은 기존 건당 2500원에서 180원 할인된 2320원이 적용된다.
한진 원클릭 프로는 월 택배 500박스 이상의 이커머스 셀러를 대상으로 운영하는 온라인 택배 계약 서비스로, 기존 소규모 사업자를 대상으로 제공하던 택배 서비스 '원클릭'의 라인업을 확장한 것이다.
회사측의 설명에 따르면, 고객은 이 원클릭 프로 홈페이지에서 24시간 중 언제라도 계약서 검토부터 최종 계약까지 별도 도장 날인 없이 모든 절차를 온라인으로 끝낼 수 있다.
한진은 최근 택배사업 본업의 경쟁력을 강화하기 위해 분주한 행보를 이어가고 있다.
지난 3월에는 국내 최대 쇼핑몰 통합 관리 서비스 '사방넷'과 협업해 사업 초기 이커머스 셀러 유치에 나섰으며, 4월에는 주 7일 배송 시범 운영에 돌입하기도 했다.
주 7일 배송을 도입한 것은 CJ대한통운에 이어 택배회사로는 두번째다.
현재 한진 주 7일 배송 서비스는 도입과 함께 현장 배송기사들의 반발도 나오는 등 진통을 겪고 있지만, 회사측은 시범 운영을 거쳐 개선해 나가겠다는 방침이다.
회사의 주 7일 배송과 신규 고객사 유치는 모두 택배시장 점유율을 지키기 위한 전략으로 풀이된다. 지난해 3분기 기준 한진의 국내 택배 시장 점유율은 9.7%로, 1분기 대비 0.4% 포인트 감소한 것으로 나타났다.
CJ대한통운과 롯데택배 등 다른 택배사들의 점유율도 줄어든 반면, 쿠팡의 점유율은 꾸준히 늘고 있다.
기존 택배 회사들은 쿠팡이 차지한 물량 외에 나머지를 차지하기 위해 치열한 경쟁을 하고 있다.
택배업계 관계자는 "택배 시장 역시 통신사와 마찬가지로 다른 경쟁사의 고객들을 유치해야 하기 때문에 더 좋은 서비스나, 가격으로 경쟁할 수 밖에 없다"고 전했다.
이상현기자 ishsy@dt.co.kr
한진택배가 더 낮은 요율을 내세워 신규 고객사 유치에 돌입했다. 사진은 한진택배 배송 차량. 한진택배 제공
회사는 수도권과 주요 도시에 '주 7일 배송' 시범 운영을 시작하는 등 택배 사업의 경쟁력을 한층 끌어올리는 중이다.
15일 업계에 따르면 한진은 자사의 택배 서비스 플랫폼 '원클릭 프로(PRO)'에서 신규 계약 고객을 대상으로 더 낮은 요율로 계약할 수 있는 프로모션을 진행 중이다.
대상 고객은 월 500박스 이상 1999박스 이하를 출고할 신규 계약 고객으로, 요율은 기존 건당 2500원에서 180원 할인된 2320원이 적용된다.
한진 원클릭 프로는 월 택배 500박스 이상의 이커머스 셀러를 대상으로 운영하는 온라인 택배 계약 서비스로, 기존 소규모 사업자를 대상으로 제공하던 택배 서비스 '원클릭'의 라인업을 확장한 것이다.
회사측의 설명에 따르면, 고객은 이 원클릭 프로 홈페이지에서 24시간 중 언제라도 계약서 검토부터 최종 계약까지 별도 도장 날인 없이 모든 절차를 온라인으로 끝낼 수 있다.
한진은 최근 택배사업 본업의 경쟁력을 강화하기 위해 분주한 행보를 이어가고 있다.
지난 3월에는 국내 최대 쇼핑몰 통합 관리 서비스 '사방넷'과 협업해 사업 초기 이커머스 셀러 유치에 나섰으며, 4월에는 주 7일 배송 시범 운영에 돌입하기도 했다.
주 7일 배송을 도입한 것은 CJ대한통운에 이어 택배회사로는 두번째다.
현재 한진 주 7일 배송 서비스는 도입과 함께 현장 배송기사들의 반발도 나오는 등 진통을 겪고 있지만, 회사측은 시범 운영을 거쳐 개선해 나가겠다는 방침이다.
회사의 주 7일 배송과 신규 고객사 유치는 모두 택배시장 점유율을 지키기 위한 전략으로 풀이된다. 지난해 3분기 기준 한진의 국내 택배 시장 점유율은 9.7%로, 1분기 대비 0.4% 포인트 감소한 것으로 나타났다.
CJ대한통운과 롯데택배 등 다른 택배사들의 점유율도 줄어든 반면, 쿠팡의 점유율은 꾸준히 늘고 있다.
기존 택배 회사들은 쿠팡이 차지한 물량 외에 나머지를 차지하기 위해 치열한 경쟁을 하고 있다.
택배업계 관계자는 "택배 시장 역시 통신사와 마찬가지로 다른 경쟁사의 고객들을 유치해야 하기 때문에 더 좋은 서비스나, 가격으로 경쟁할 수 밖에 없다"고 전했다.
이상현기자 ishsy@dt.co.kr

[저작권자 ⓒ디지털타임스 무단 전재-재배포 금지]
실시간 주요뉴스
기사 추천
- 추천해요 0
- 좋아요 0
- 감동이에요 0
- 화나요 0
- 슬퍼요 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