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미 해병대가 민간인을 체포하는 모습[로스앤젤레스 로이터=연합뉴스]](https://wimg.dt.co.kr/news/legacy/contents/images/202506/2025061402109919607002[1].jpg)
해병대를 지휘하는 '태스크포스 51' 사령관 스콧 셔먼 미 육군 소장은 이날 "약 200명의 해병대원이 이미 현장에 배치된 주방위군과 합동 작전을 시작했다"며 "(이 병력은) 해당 지역의 보안 업무를 넘겨받아 수행하게 된다"고 밝혔다.
해병대는 LA 윌셔 연방청사(Wilshire Federal Building) 등 LA의 연방 건물을 보호하게 된다고 셔면 소장은 설명했다.
이 청사는 LA 시내에서 약 24km 떨어진 지역에 있으며 연방경찰국(FBI), 재향군인부, 미국 여권국 사무실 등이 입주해 있다.
그는 "현재까지 해병대나 주방위군 병력은 (불법 이민자나 시위 참가자) 누구도 구금하지 않았다"면서 "군 병력은 법 집행 활동에 참여하지 않을 것"이라고 강조했다.
그러나 로이터 통신은 해병대가 윌셔 연방 건물 앞에서 한 남성을 구금하는 장면이 목격됐다고 보도했다. 한 대원이 벤치를 넘어 정원을 가로질러 남성을 추격해 제압했고 이후 다른 해병이 가세했다.
로이터가 촬영한 사진에는 해병대가 이 남성의 손을 케이블 타이로 묶은 후 약 2시간 뒤 국토안보부(DHS) 소속 인력에게 인계하는 장면이 담겼다.
미군은 구금 사실을 공식적으로 확인했으며, 이는 현역 군인에 의한 민간인의 첫 구금 사례로 알려졌다고 통신은 전했다.
군이 폭동 진압을 위해 투입된 것은 1992년 로드니 킹 폭행 사건 관련 LA 폭동 이후 처음이다. 당시에는 캘리포니아 주지사가 대통령에게 군 지원을 요청했다.
하지만 이번의 경우 LA에서 이민 단속에 대한 항의 시위가 거세지자, 트럼프 대통령의 지시로 해병대가 파견됐으며 개빈 뉴섬 캘리포니아 주지사는 병력 투입에 반대했지만 강행됐다. 이에 해병대원 700명은 지난 9일 밤 LA에 도착해 현장 투입에 대비해왔다.
해병대 투입은 미국 연방 항소법원이 캘리포니아 주방위군의 LA 투입을 일시적으로 허용한 다음날 나왔다.
앞서 미국 제9 연방순회항소법원은 지난 12일 주지사 동의 없는 트럼프 대통령의 "주방위군 배치는 불법적"이라며 "캘리포니아 주방위군의 통제권을 주지사에게 반환하라"는 1심 결정을 몇 시간 만에 일시 중지시켰다.
항소법원은 본안 심리가 진행될 때까지 하급심 결정을 중지시키면서 임시적으로 대통령의 지휘권을 인정했다.
LA에 야간 통행금지가 내려진 지 3일째인 전날 총 49명이 경찰에 붙잡혔다. 33명은 해산 명령을 이행하지 않았고 13명은 통행금지를 위반했다고 경찰은 설명했다.
이런 가운데 오는 14일 미 전역에서 예정된 '트럼프 반대운동'인 '노 킹스'(No Kings) 시위는 도널드 트럼프 대통령의 두 번째 임기 시작 이후 최대 규모가 될 것으로 예상되고 있다.
이번 시위는 50개 모든 주에서 진행되며 시위 건수는 약 2000건에 달할 것으로 추정된다고 뉴욕타임스(NYT)가 이날 보도했다.
인디애나주에서만 30건 넘는 시위가 예고되는 등 시골 지역에서부터 뉴욕, 필라델피아, 시카고 등 대도시에 이르기까지 곳곳에서 시위가 열릴 예정이다. 특히, 미국 독립 혁명의 상징적인 도시인 필라델피아는 이번 시위의 거점이 될 것으로 예상되고 있다.
미 육군 창설 250주년이자 트럼프 대통령의 79번째 생일을 맞아 군사 퍼레이드가 열리는 워싱턴DC는 시위에서 제외됐다.
트럼프 대통령이 "워싱턴 퍼레이드 반대 시위에는 아주 강력한 대응(force)"을 하겠다"고 경고한 데 따른 것으로 보인다.
이번 시위는 트럼프 대통령의 이민자 단속과 로스앤젤레스(LA)에 군대를 배치한 결정에 반대하는 시위가 미국 내 곳곳에서 이미 진행되고 있는 가운데 열린다. 특히 이번 시위는 지난 4월 5일 트럼프 대통령이 의료와 교육, 사회보장 제도를 위협한다고 주장하며 개최한 '핸즈 오프!'(Hands Off!) 시위 등 트럼프 대통령에 반대하는 대규모 시위를 주도한 단체들이 주최했다.
주요 단체는 인디비저블(Indivisible), 미국시민자유연맹(ACLU) 등으로 이들 단체는 트럼프 1기 때에도 낙태권, 총기폭력에 반대하는 시위를 조직한 바 있다. 이번 시위는 당초 이민 단속으로 인한 LA 시위가 벌어지기 전부터 계획돼 왔지만, LA 시위가 전국적으로 확산하면서 규모가 더 커지게 됐다.
김광태기자 ktkim@dt.co.kr
[저작권자 ⓒ디지털타임스 무단 전재-재배포 금지]
실시간 주요뉴스
기사 추천
- 추천해요 0
- 좋아요 0
- 감동이에요 0
- 화나요 0
- 슬퍼요 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