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질병관리청은 11일 '초고령사회 건강 노화를 위한 노쇠 예방의 필요성과 질병관리청의 역할'을 주제로 연 제9차 건강한 사회 포럼에서 이렇게 밝혔다.
질병청이 2023년 건강보험통계연보를 재구성한 자료에 따르면 우리나라 노인진료비 증가세는 고령화보다 가파르다.
2019∼2023년 65세 이상 노인 인구가 746만3000명에서 921만6000명으로 23.5% 느는 동안 노인진료비는 35조7925억원에서 48조9011억원으로 36.6% 증가했다.
이날 포럼에서 발표를 맡은 박광숙 질병청 노쇠기획팀장은 "현재 치매나 만성질환 등 질병과 그에 대한 돌봄 위주로 노인 건강 정책을 펼치고 있는데, 지자체의 예산이나 사업 추진 역량이 부족한 상황"이라며 "향후 노인 건강 정책을 건강한 노화를 위한 포괄 건강관리체계로 전환하고, 노인 삶의 질 향상과 사회적 비용 절감을 위해 국가 단위로 통합 전략을 마련할 것"이라고 밝혔다.
질병청은 노인들이 돌봄이 필요해지기 전 스스로 건강 기능을 유지하고, 일상생활을 혼자서 영위하게 하기 위한 노쇠 예방사업 모델을 개발하고, 일부 지역을 대상으로 시범사업을 추진할 계획이다. 2023년 보건복지부 노인실태조사에 따르면 우리나라 노인의 4.6%가 돌봄이 필요한 노쇠 상태이며 32.2%는 그 앞 단계인 전(前) 노쇠 상태다.
이에 따라 질병청은 도시·도농 복합·농어촌 지역으로 대상 지역을 나누고, 고령화와 인구 감소 등 고려해 선정한 3개 지자체를 대상으로 2026∼2027년 노쇠 예방 시범사업을 할 계획이다.
시범사업 대상으로 선정된 지자체에서는 20개 지역 단위로 경로당, 노인복지시설 등 활용해 사업프로그램 적용한다. 시범사업이 끝나면 2028년부터는 지자체가 사업을 주도하도록 지원할 예정이다.
질병청은 또 지역별 노쇠 현황 파악 등 모니터링 체계 구축을 위해 매년 실시하는 지역사회건강조사에 노쇠 관련 문항도 추가한다. 지난 한 달간 피곤하다고 느낀 적이 있는지, 도움이 없이 혼자서 쉬지 않고 계단 10개를 오르거나 300m를 혼자 이동하는 데 힘이 드는지 등을 묻는 것이다.박상길기자 sweatsk@dt.co.kr
[저작권자 ⓒ디지털타임스 무단 전재-재배포 금지]
실시간 주요뉴스
기사 추천
- 추천해요 0
- 좋아요 0
- 감동이에요 0
- 화나요 0
- 슬퍼요 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