이재명 대통령이 10일 서울 용산 대통령실에서 시진핑 중국 국가주석과 전화 통화를 하고 있다. 연합뉴스
이재명 대통령이 10일 서울 용산 대통령실에서 시진핑 중국 국가주석과 전화 통화를 하고 있다. 연합뉴스


이재명 대통령이 10일 시진핑 중국 국가주석과 취임 후 첫 통화를 했다. 약 30분간의 통화에서 시 주석은 "한중은 떨어질 수 없는 가까운 이웃"이라며 "상호 이익과 공동 번영을 목표로 전략적 협력 동반자 관계를 새로운 수준으로 발전시켜야 한다"고 제안했다. 그러면서 다자주의와 자유무역을 함께 지켜나가자고 말했다. 이 대통령도 "중국은 모든 면에서 중요한 파트너"라며 "전략적 협력 동반자 관계를 통해 양국 국민이 체감할 수 있는 실질적 성과를 만들어가자"고 화답했다. 특히 이 대통령은 오는 11월 경주 APEC 정상회의에 시 주석을 초청하면서 보다 긴밀한 의견 교환을 기대한다고 강조했다. 시 주석이 한국을 찾으면 2014년 7월 이후 11년 만의 방한이 된다.

앞서 이 대통령은 지난 6일 도널드 트럼프 미국 대통령과, 9일엔 이시바 시게루 일본 총리와 각각 통화를 했다. 미국과는 굳건한 동맹 관계를 재확인했고, 일본과는 미래지향적 협력의지를 나눴다. 이로써 이 대통령은 한국의 안보·경제·외교 지형에서 가장 중요한 나라들인 미·일·중 정상들과 모두 통화하며 외교의 균형을 갖췄다. 세 나라는 어느 하나 소홀히 할 수 없는 우리 외교의 축이다. 한반도를 둘러싼 미·중 경쟁과 글로벌 공급망 재편, 북핵 문제 등 복합적 외교 과제를 고려하면 이번 연쇄 정상 통화는 단순한 취임 인사 차원을 넘어 실용 외교의 시동으로 볼 수 있다. 이념보다 국익을 앞세운 실용주의 외교 노선을 분명히 한 것으로 평가된다. 국내외 정세를 고려한 이 대통령의 유연한 접근이 엿보이는 대목이다.

실용 외교란 말 그대로 국익에 부합하는 방향으로 융통성 있게 움직이되, 원칙은 분명히 하는 것이다. 세계 질서가 급변하는 지금, 한국은 모든 측면에서 실용적 접근이 불가피한 상황이다. 그런 점에서 이번 정상 통화는 분명히 의미있는 출발이었다고 할 수 있다. 그렇다고 결과까지 보장되는 것은 아니다. 이제 이 대통령은 정상 통화를 실용 외교의 디딤돌로 삼아 구체적 성과를 거둬야 할 것이다. 국익을 지키되 원칙을 잃지 않고, 실리를 취하되 자존은 버리지 않는 외교를 통해 실익을 쌓아야 한다. 이제 디딤돌은 놓였다. 중요한 것은 그 디딤돌 위에 튼튼한 외교 건축물을 세우는 일이다. 성과로 증명하지 못한다면 디딤돌은 아무 의미 없다. 결과로 보여줘야 한다.

[저작권자 ⓒ디지털타임스 무단 전재-재배포 금지]

기사 추천

  • 추천해요 0
  • 좋아요 0
  • 감동이에요 0
  • 화나요 0
  • 슬퍼요 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