한국경제인협회는 산하 한국경제연구원과 선진통상포럼이 서울 여의도 FKI 컨퍼런스센터에서 '통상·경제안보 정책과제와 전망' 세미나를 공동 개최했다고 10일 밝혔다.

이 자리에서 전문가들은 대미 통상 현안, 글로벌 공급망 재편, 경제안보 중심 통상질서, 디지털 통상규범 등 통상환경 전반에 걸친 복합위기 대응을 위한 전략적 통상정책 수립이 필요하다고 강조했다.

첫 번째 연사인 이승주 중앙대 정치국제학과 교수는 '미·중 관세전쟁: 전개양상과 대응전략' 주제발표에서 "급변하는 국제정세 대응은 물론, 트럼프 1기부터 바이든 행정부를 거치며 나타난 미중 관계의 전략적 연속성과 진화 양상을 면밀히 분석해 거시적 관점에서 우리의 중장기 통상 대응 역량을 높여야 한다"고 강조했다.

이태규 한경연 수석연구위원은 '통상정책 방향과 과제' 주제발표에서 "한국은 특정 지역·품목에 대한 수출 의존도가 높아 외부 변수에 취약하다"며 "수출 다각화 노력에도 불구하고 수출집중도는 더 강화되는 추세"라고 우려했다. 그러면서 "미국과의 산업협력도 중요하지만, 환태평양경제동반자협정(CPTPP) 가입 등 통상 다각화와 유럽연합(EU)과의 전략적 공급망 협력 강화가 시급한 과제"라고 제언했다.

마지막 연사인 최석영 전 제네바 대사(법무법인 광장 고문)는 '글로벌 경제안보 정책: 분석과 전망' 발표를 통해 "글로벌 경제안보 경쟁이 심화로 외교·통상·산업 간 종합적인 정책 연계의 필요성이 커졌다"고 설명했다. 그는 특히 "현재 각 부처의 경제안보 정책을 유기적으로 연계·조율하고 부처 간 협업을 촉진할 수 있는 정부 차원의 체계적 거버넌스 구축이 시급하다"고 전했다.

정철 한경연 원장은 환영사에서 "격변하는 통상질서 대응을 위한 민관 협력이 중요하다"며 "이번 세미나가 통상정책 수립과 산업계의 대응 역량 강화에 기여하길 바란다"고 밝혔다.

장우진기자 jwj17@dt.co.kr



[저작권자 ⓒ디지털타임스 무단 전재-재배포 금지]
장우진

기사 추천

  • 추천해요 0
  • 좋아요 0
  • 감동이에요 0
  • 화나요 0
  • 슬퍼요 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