작품·작사작곡상 등 수상
10개 부문 후보 올라 최다
2016년 초연·작년 美 진출
탄탄한 스토리·현지화 성과

박천휴 작가, 윌 애런슨 작곡가, 배우 대런 크리스 등 뮤지컬 '어쩌면 해피엔딩' 제작진과 창작진들이 8일(현지시간) 미국 뉴욕에서 열린 제78회 토니상 수상식에서 뮤지컬 작품상을 수상한 뒤 포즈를 취하고 있다. 로이텨=연합뉴스
박천휴 작가, 윌 애런슨 작곡가, 배우 대런 크리스 등 뮤지컬 '어쩌면 해피엔딩' 제작진과 창작진들이 8일(현지시간) 미국 뉴욕에서 열린 제78회 토니상 수상식에서 뮤지컬 작품상을 수상한 뒤 포즈를 취하고 있다. 로이텨=연합뉴스


미국 뉴욕 브로드웨이에 진출한 한국의 창작 뮤지컬 '어쩌면 해피엔딩'(Maybe Happy Ending)이 미국의 연극·뮤지컬계 아카데미상이라 불리는 토니상에서 최고 영예인 작품상(Best Musical)을 포함해 6관왕을 차지하며 'K-뮤지컬'의 역사를 새로 썼다.

'어쩌면 해피엔딩'은 8일(현지시간) 미국 뉴욕 라디오시티 뮤직홀에서 열린 제78회 토니상 시상식에서 △작품상 △극본상 △작사·작곡상 △무대디자인상 △연출상 △남우주연상 등 주요 부문 상을 석권했다. 국내에서 제작되고 초연된 창작 뮤지컬이 토니상을 받은 것은 이번이 처음이다. 작가 박천휴는 한국인 최초로 극본상과 작사·작곡상을 받는 기록을 세웠다.



'어쩌면 해피엔딩'은 이번 토니상 시상에서 10개 부문의 후보에 올라 '부에나 비스타 소셜 클럽', '죽어야 사는 여자'(Death Becomes Her)와 함께 최다 후보작에 올랐다.

최종 수상까진 이르진 못했지만 △오케스트레이션(편곡상) △의상 디자인 △조명 디자인 △음향 디자인 부문에서도 후보작에 올라 작품의 우수성을 인정 받았다.

이날 6개 부문 수상으로 '어쩌면 해피엔딩'은 올해 토니상 최다 수상작이 됐다.

'어쩌면 해피엔딩'은 미래를 배경으로 인간을 돕기 위해 만들어진 로봇 올리버와 클레어가 사랑에 빠지면서 벌어지는 이야기를 그린 창작 뮤지컬로, 박천휴 작가와 윌 애런슨 작곡가가 공동 작업으로 만들었다.

국내에선 2016년 300석 규모의 대학로 소극장에서 초연된 바 있다. 이후 영어판 제작을 거쳐 지난해 11월 뉴욕 맨해튼 벨라스코 극장에서 정식 개막하며 브로드웨이에 진출했다.

토니상 거머쥔 박천휴 작가(왼쪽)와 윌 애런슨 작곡가. 뉴욕 로이터=연합뉴스
토니상 거머쥔 박천휴 작가(왼쪽)와 윌 애런슨 작곡가. 뉴욕 로이터=연합뉴스


국내에서 초연된 완성 작품이 미국 브로드웨이에 진출해 토니상을 수상한 것은 '어쩌면 해피엔딩'이 처음이다. 박 작가는 작사·작곡상 공동 수상 소감에서 "브로드웨이 커뮤니티가 우리를 받아들여 준 것에 정말 감사하다"고 소감을 밝혔다.

박 작가는 작품에 대해 "한국의 인디팝과 미국 재즈, 현대 클래식 음악, 전통적인 브로드웨이를 융합하려고 노력했다"며 "모든 감성이 어우러진 '멜팅팟'(용광로)과도 같다"고 소개했다.

'어쩌면 해피엔딩'이 올해 토니상 다관왕에 오르고, 한국인 창작자가 주도한 작품들이 '뮤지컬의 성지' 브로드웨이에서 주목받으며 국내 뮤지컬 창작자들의 끈질긴 도전도 결실을 보고 있는 중이다.

한국뮤지컬협회는 9일 '어쩌면 해피엔딩'이 토니상을 석권한 데 대해 "작품성과 흥행성을 모두 인정받은 한국 소극장 뮤지컬이 미국 브로드웨이 대극장으로 확장돼 성공한 첫 사례"라고 평가했다.

협회는 환영 성명에서 "초기 창작부터 디벨로프(개발), 상업화, 해외 진출까지 뮤지컬 생태계가 추구하는 이상적인 모델을 구현한 것"이라며 "창작자뿐만 아니라 초연부터 브로드웨이 공연까지 10년에 걸쳐 각 단위의 역할을 수행한 우리 뮤지컬계 모든 분께 감사와 축하의 뜻을 전한다"고 밝혔다.

최근 수년간 한국 뮤지컬계의 뉴욕 브로드웨이 진출이 늘어나면서 토니상 수상도 이제 낯설지 않다. 2021년 제74회 토니상에서는 CJ ENM이 공동 프로듀서로 참여한 '물랑루즈'가 최우수 작품상, 남우주연상, 여우주연상을 비롯한 총 10개 부문을 수상했다.

지난해에는 국내 제작사 오디컴퍼니의 신춘수 대표가 리드 프로듀서로 참여한 뮤지컬 '위대한 개츠비'가 뉴욕 브로드웨이에 초연돼 흥행에 성공한 바 있다.

아울러 지난해 토니상 시상식에선 '위대한 개츠비'의 린다 조 씨가 의상디자인상을, 뮤지컬 '아웃사이더스'의 김하나(미국명 하나 수연 김)씨가 조명상을 각각 받은 바 있다.

이규화기자 david@dt.co.kr

[저작권자 ⓒ디지털타임스 무단 전재-재배포 금지]
이규화

기사 추천

  • 추천해요 0
  • 좋아요 0
  • 감동이에요 0
  • 화나요 0
  • 슬퍼요 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