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물가 역시 통제 범위를 벗어나고 있다. 작년 12월부터 지난 달까지 최근 6개월간 가격을 올린 식품·외식업체가 60곳이 넘으면서 서민들의 물가 부담이 커지고 있다. 정국 혼란 시기를 틈타 기업들이 집중적으로 가격 인상을 단행한 게 아니냐는 비판이 나온다. 가계대출은 또 꿈틀거리고 있다. 지난달 전체 금융권 가계대출 증가액은 6조원대일 것으로 관측된다. 월간 기준으로 올 들어 가장 큰 폭의 증가다. 이렇듯 수출·내수·생산·물가에 가계부채까지 일제히 '빨간불'이다. 이는 단순한 경기순환상의 조정 국면이 아니라, 구조적 위기다.
차기 정부가 마주한 경제 상황은 1998년 김대중 정부 출범 당시인 외환위기 직후와 견줄 만큼 심각한 국면이다. 게다가 보호무역 확산, 미·중 경쟁 등 외부 변수까지 가세하며 여건은 악화일로다. 단순한 경기 부양이나 일시적 재정 확대로는 타개할 수 없다. 정치 논리나 여론의 눈치를 보는 소극적 처방으로는 돌파할 수 없다. 혹여 전임 정부 탓 운운한다면, 그것은 책임 회피에 불과하다. 해법과 실행력을 보여주는 것이 새 정부의 책무다. 경제 살릴 각오가 없다면 정권 맡을 자격도 없다. 새 정부는 명운을 걸고 경제 문제에 정면으로 맞서야 한다. '경제가 무너지면 모든 것이 무너진다'는 냉정한 현실 인식을 바탕으로 경제 살리기에 담대하게 나서야 한다.
[저작권자 ⓒ디지털타임스 무단 전재-재배포 금지]
실시간 주요뉴스
기사 추천
- 추천해요 0
- 좋아요 0
- 감동이에요 0
- 화나요 0
- 슬퍼요 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