사진=AP 연합뉴스
사진=AP 연합뉴스


도널드 트럼프 미국 행정부에서 지속적으로 금리인하 압박을 받고 있는 제롬 파월(사진) 미 연방준비제도(Fed·연준) 의장이 모교를 찾아 민주주의를 수호하라고 당부했습니다.

영국 일간 파이낸셜타임스(FT)에 따르면, 파월 의장은 25일(현지시간) 모교인 미 프린스턴대에서 졸업식 축사를 하면서 "우리는 과학 혁신과 경제 역동성을 포함한 여러 방면에서 세계를 선도하고 있다"며 "우리의 훌륭한 대학들은 세계가 부러워하는 대상이며, 중요한 국가 자산"이라고 말했습니다. 그러면서 "이 모든 것을 당연하게 생각하지는 말라"고 촉구했습니다.

그는 "앞으로 50년 후에 돌아볼 때 여러분은 민주주의를 지키고 강화하기 위해 필요한 모든 일을 했으며, 건국의 아버지들의 시대를 초월한 이상에 우리를 더욱 가까이 데려왔다는 것을 알고 싶을 것"이라고 강조했습니다.

이어 졸업생들에게 위험을 감수하고 공직을 고려하며 신중하게 자신의 진실함을 지키라고 당부했습니다. 그는 "지금부터 50년 후, 여러분은 거울을 보며 인생의 모든 면에서 자신이 옳다고 생각한 대로 행동했다는 것을 알고 싶어 할 것"이라며 "결국 당신이 가진 것은 진실함 뿐"이라고 강조했습니다.

파월 의장의 민주주의 언급은 트럼프 행정부를 직접적으로 겨냥한 것은 아니지만 트럼프 행정부가 명문대에 대한 압박을 강화하고 있는 와중에 나온 것이라 눈길을 끌고 있습니다.

트럼프 행정부는 반(反)유대주의 근절 수용 등 정부의 교육정책 변경 요구를 거부한 하버드대를 상대로 3조원대의 연방 지원금 지급을 중단한 데 이어 외국인 학생 등록 차단 조치도 단행했지요. 6500명이 넘는 하버드 유학생들의 미래를 불투명하게 만든 이 조치는 일단 법원에 의해 효력이 중단된 상태입니다.

또한 트럼프 대통령은 이날 외국인 학생의 이름·국적 공개도 요구했습니다. 그는 "우리는 이들 외국인 학생이 누구인지 알고 싶다. 우리가 하버드에 수십억 달러를 지원한 만큼 이는 합리적인 요구"라고 주장했습니다. 그러나 이미 하버드대는 지난해 10월 기준으로 외국인 학생의 국적 목록을 공개했지요. 그 비율은 전체의 27% 정도입니다. 중국 출신 학생이 가장 많고, 이어 캐나다, 인도, 한국, 영국 순입니다.

한편 트럼프 대통령의 첫 임기 때 임명된 파월 의장은 트럼프 행정부에서 금리를 빨리 인하하라는 압박을 받고 있습니다. 트럼프 대통령은 이달 초 금리를 3회 연속 동결한 파월 의장을 두고 "'너무 늦는' 제롬 파월은 아무것도 모르는 바보"라고 공격한 바 있습니다.

박영서 논설위원

[저작권자 ⓒ디지털타임스 무단 전재-재배포 금지]
박영서

기사 추천

  • 추천해요 0
  • 좋아요 0
  • 감동이에요 0
  • 화나요 0
  • 슬퍼요 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