이재명 더불어민주당 대선 후보가 25일 서울 여의도 당사에서 열린 기자간담회에서 발언하고 있다. 연합뉴스
이재명 더불어민주당 대선 후보가 25일 서울 여의도 당사에서 열린 기자간담회에서 발언하고 있다. 연합뉴스


이재명 더불어민주당 대선 후보가 대선 출마 이후 처음으로 기자간담회를 열고 자신의 국정 비전과 정책 구상 등을 밝혔다. 그는 "지금은 모든 에너지를 경제와 민생 회복에 둬야 한다"면서 대통령에 당선되면 경기 부양을 위해 대통령이 지휘하는 '비상경제 대응 태스크포스(TF)'를 구성하겠다고 말했다. 인공지능(AI), 딥테크 등 첨단산업 투자 및 네거티브 규제 전환 검토도 약속했다. 수사권 조정 등 사법·검찰 개혁의 필요성이 있다면서도 이 역시 민생경제 회복의 후순위가 돼야 한다고 강조했다. 그는 "내란 세력은 벌하되, 정치 보복은 결단코 없을 것"이라고도 천명했다. 이 후보는 '경제 회복'을 최우선 가치로 띄우면서 '정치 보복'에는 선긋기를 했다.

이 후보의 메시지는 분명히 의욕적이었다. 그러나 정치에서 중요한 것은 언제나 '실행'이다. 이 후보는 성남시장과 경기도지사 시절 실천 의지가 강한 정치인으로 평가받았다. 동시에 그 정책들은 논란의 도마 위에 오르거나 예산과 제도의 벽에 부딪혀 충분히 성과를 내지 못한 사례도 적지 않다. 정책의 방향성이 아무리 옳아 보여도, 실현 가능성이 없다면 공허한 약속에 불과한 것이다. 공약은 포퓰리즘이 아니라, 냉정한 재정 판단과 법적·행정적 실현 가능성 위에 세워져야 한다. 더욱이 이번 대선은 복잡한 국내외 환경 속에서 치러진다. 그런만큼 강한 의지만으로는 부족하다. 강력한 개혁 드라이브나 정책 제안은 자칫 '정치적 물타기'로 비칠 우려도 있다. 따라서 정밀한 정책 설계와 국민 설득, 국회와의 조율이 수반돼야 진짜 결과를 낼 수 있다.

이번 기자간담회는 대선 후보로서 이재명이 어떤 메시지를 들고 나왔는지 확인하는 출발점이었다. 단순한 선언이나 정치적 수사에 그치지 않고, 국가를 어떻게 이끌 것인지에 대한 방향성과 철학, 그리고 실질적 공약의 내용을 구체적으로 드러낸 자리였다는 점에서 의미가 크다. 이제부터는 그 말들이 정책이 되고, 정책이 실행으로 이어지는 여정이 시작되어야 한다. 국민들은 더 이상 '말 잔치'를 원하지 않는다. 각종 유혹성 공약들과 구분되는 실행 가능한 '진짜 약속'을 요구하고 있다. 정치인의 말에 실천이 따를 때, 신뢰가 생기고 권위가 서게 된다. 부디 이번 간담회가 '말의 정치'를 넘어 '실행의 정치'로 나아가는 출발점이 되기를 바란다.

[저작권자 ⓒ디지털타임스 무단 전재-재배포 금지]

기사 추천

  • 추천해요 0
  • 좋아요 0
  • 감동이에요 0
  • 화나요 0
  • 슬퍼요 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