내달 말 30가구 이상 공공주택부터 '제로에너지건축물(ZEB) 의무화'가 적용된다.

ZEB는 에너지 절감과 신재생에너지 설비 등을 활용해 에너지 소요량을 자체적으로 충당하는 '친환경 건축물'을 의미한다. 에너지 자립률 등에 따라 총 6개 등급으로 구분된다. 이 중 5등급(자립률 20~40%) 수준에 준하는 규제를 공공주택을 넘어 민간아파트까지 의무화하겠다는 것이다.

22일 국토교통부에 따르면, 정부는 연면적 1000㎡ 이상 민간 건축물과 30가구 이상 공동주택을 대상으로 ZEB 5등급 수준 설계를 의무화하는 규제 심사를 진행 중이다. 정부는 심사를 마치는 대로 내달 30일부터 ZEB를 시행할 방침이다.

건설업계는 초비상이 걸렸다. ZEB 의무화가 적용될 경우 공사비·분양가 인상이 불가피하다는 우려다.

국토부는 ZEB 5등급 수준의 인증 기준을 충족할 경우 전용면적 84㎡ 기준 가구당 약 130만원의 공사비가 증가할 것으로 추산했다.

반면 건설업계는 다르게 봤다. 5등급 수준의 에너지 자립을 위해선 기존 건축물에 들어가는 자재 외에도 고성능 단열재와 고효율 창호, 태양광 설비 등이 필수적이라고 주장했다. 이같은 요소들이 종합적으로 반영되면 가구당 약 293만원의 비용이 더 발생할 것으로 예상했다. ZEB 의무화를 실현하기 위해선 건설사들의 이익 감소를 보상할 만한 유인책이 필요하다는 의견도 나왔다.

ZEB 의무화에 따른 공사비·분양가 상승의 우려는 있지만, 냉난방·조명 등 건축물 운영 시 발생하는 온실가스를 점진적으로 감축해야 한다는 '시대적 흐름'은 무시하기 어렵다. 지속 가능한 성장을 목표로 하는 건설업계는 친환경 기술 개발에 적지 않은 노력을 쏟고 있다.

삼성물산 건설부문은 ZEB 건축물 등급 준수를 위해 2021년부터 ZEB 5등급 수준의 표준모델을 수립하고 설계 가이드라인을 제정했다. 태양광 설비의 효율적인 적용을 위해 태양광 적용 디자인 가이드라인을 마련했으며 옥상, 벽면, 난간 등 다양한 방식의 적용 방안을 검토해왔다. 2022년에는 부산 에코델타시티 스마트 빌리지 사업에서 ZEB 1등급 본인증을 받았다.

GS건설은 최근 자사 주거 브랜드 '자이(Xi)'에 적용할 자체 개발 '에너지 절약형 조명'을 전격 공개했다. 초고효율 LED와 IoT 기반 스마트 제어 기능이 탑재된 이 조명은 기존 대비 30~50%의 에너지 소모를 줄였다. 이에 따른 전기요금 절감과 탄소 배출 저감 효과를 동시에 기대할 수 있다.

롯데건설은 최근 본사 사옥에 '건물일체형 태양광 발전 시스템(BIPV)'과 에너지 저장장치(ESS)를 시범 구축했다. 건물 외벽에 설치돼 전력 생산과 외장재 역할을 동시에 수행하는 BIPV는 별도 설치 공간이 필요 없어 도심형 건물에서의 활용도가 높다. 롯데케미칼, 엡스코어, 스탠다드에너지 등과 함께 이에 대한 공동 기술연구도 병행 중이다.

현대건설은 인공지능(AI) 기반의 '스마트 건물 에너지 관리 시스템(BEMS)'으로 에너지 효율을 실시간으로 관리, 국내 최초로 '고층형 제로에너지 빌딩 인증'을 받았다. DL이앤씨는 건축환경연구센터를 통해 신재생 기술을 실증하고 있다. 포스코이앤씨는 단열·창호 성능을 높이고 태양광 설비를 활용해 세대당 에너지 소비를 최대 35%까지 절감하고 에너지 자립률을 두 배 이상 높일 수 있도록 기술 개발에 박차를 가하고 있다.권준영기자 kjykjy@dt.co.kr

[연합뉴스]
[연합뉴스]


[저작권자 ⓒ디지털타임스 무단 전재-재배포 금지]

관련기사

권준영

기사 추천

  • 추천해요 0
  • 좋아요 0
  • 감동이에요 0
  • 화나요 0
  • 슬퍼요 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