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2조6000억 정리·재구조화
하반기 업권별 1조원 안팎

[연합뉴스 자료사진]
[연합뉴스 자료사진]
금융당국이 올해 상반기 내 전체 부실 프로젝트파이낸싱(PF)의 53%에 달하는 총 12조6000억원을 정리하기로 했다. 하반기 대부분 업권의 잔여 부실이 1조원 내외로 줄어 안정적으로 관리될 것으로 본다. 다만 부실 정리가 지연되는 개별 금융사에 대해선 현장점검과 충당금 추가 적립 등 대응을 강화할 계획이다.

22일 금융감독원에 따르면 현재 중대형 사업장 모니터링 강화와 업권 정상화펀드 매각, 플랫폼 활용 등을 통해 오는 6월 말까지 정리(9조2000억원)나 재구조화(3조4000억원)하는 것을 계획하고 있다.

지난해 말 기준 사업성평가 시 부실 PF(유의·부실우려)는 총 23조9000억원이었다. 지난 3월 말까지 9조1000억원(38.1%)에 대한 정리(6조5000억원) 또는 재구조화(2조6000억원)를 이미 완료한 상태다. 2분기 중 추가로 총 3조5000억원(정리 2조7000억원·재구조화 8000억원)을 추진할 예정이다.

한구 금감원 중소금융 부원장보는 "전 금융권 PF 사업장에 대해 엄정한 평가기준을 적용해 부실 사업장을 선별하고 적극적으로 정리·재구조화를 추진했다"며 "지난해 하반기 신사업성평가 기준 도입으로 시작된 1년간의 부실 PF 정리 작업이 상당부분 마무리될 것으로 예상된다"고 설명했다.

앞서 지난 2022년부터 시작된 금리 상승 등으로 지난해 중 부동산 PF 부실화가 급격히 진행돼 금융사 건전성이 악화됐다. PF 대출(토지담보대출 제외)은 2020년 말 92조5000억원에서 2021년 말 112조9000억원으로 22.2% 증가했다. 2022년 말에는 전년 동기보다 15.4% 증가한 130조3000억원이었다. 금융권 PF 대출 연체율은 2021년 말 0.37%에서 2022년 말(1.19%), 2023년 말(2.70%), 지난해 6월 말(3.56%)로 크게 치솟았다.

금융당국은 지난해 5월 부실사업장을 보다 엄격하게 판별하기 위해 사업성 평가 기준을 전면 개선했다. 같은 해 6월부터 부실사업장을 선별하고 정리·재구조화에 착수한 바 있다.

금융당국은 상반기까지 전체 부실 PF의 절반을 정리하며 PF 대출 고정이하여신비율 5.5%포인트(p) 감소와 연체율 4.1%p 감소 등 건전성 개선 효과를 기대한다. 500억원 이상의 중대형 사업장 중 양해각서(MOU)를 제출했거나, 추가 자금조달 계약 체결이 임박해 2분기 1조6000억원 규모의 정리·재구조화가 완료될 것으로 예상한다. 저축은행의 4차 PF정상화펀드에 1조5000억원 규모의 PF 여신 매각이 진행 중으로 실사와 가격 협의를 거쳐 6월 중에 매각 절차도 마무리할 예정이다.

정보공개 플랫폼에 공개된 부실사업장 중 다수의 매수의향자가 적극적인 매수의사를 보이거나 수의계약 체결을 위해 가격협상을 앞둔 건은 4000억원 규모였다.

한 부원장보는 "부동산 시장 회복 지연 등에 따른 추가 부실 발생 가능성도 염두에 두고 있다"며 "앞으로 상시적으로 부실 PF 관리를 강화하며 부실 정리가 미진한 곳에 대해선 현장점검과 충당금 추가 적립 등을 통해 건전성 관리를 강화하도록 유도하겠다"고 말했다.

임성원기자 sone@dt.co.kr

[저작권자 ⓒ디지털타임스 무단 전재-재배포 금지]
임성원

기사 추천

  • 추천해요 0
  • 좋아요 0
  • 감동이에요 0
  • 화나요 0
  • 슬퍼요 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