기업회생 절차(법정관리) 개시 후 처음으로 얼굴을 맞댄 홈플러스 노사가 회생의 성격을 두고 이견을 보이며 별다른 성과 없이 마무리됐다.
22일 홈플러스와 노조 등에 따르면 김광일 MBK 부회장 겸 홈플러스 공동대표를 비롯한 경영진은 전날 민주노총 서비스연맹 마트산업노조 홈플러스 지부 측과 간담회를 하고 향후 계획 등을 설명했다.
홈플러스가 지난 3월 4일 회생절차에 들어간 이후 노사가 대면한 것은 처음이다.
김 부회장은 이 자리에서 고용안정을 최우선에 두고 회생 절차를 진행 중이며 인위적인 구조조정은 없을 것이라고 설명했다.
그러면서 회생이 성공하려면 수익성을 개선해 지속 가능한 사업 구조를 구축하는 게 반드시 필요하다며 회사를 정상화하고 직원들의 일자리를 지키기 위해 모든 가능성을 열어 놓고 접근할 필요가 있다고 거듭 강조했다.
사측은 회생 절차 개시 이후 소상공인 상거래채권을 우선 상환하고 납품이 정상화하는 등 모든 부분에서 빠르게 안정을 찾아가고 있다고 현재 상황을 설명했다.
하지만 노조는 사측이 임차료 협상 불발을 이유로 61개 임차 점포 가운데 17개 점포의 임대차 계약 해지를 통보한 것을 언급하며 "회생이라는 이름을 빌린 청산 수순"이라고 주장했다.
사측이 회생 절차와 관련한 주요 사안을 노조와 사전 공유하지 않은 채 사후 통보로 일관하는 것은 물론 회생계획안마저 비공개로 부치고 있다고 비판하기도 했다.
이번 간담회는 파행으로 마무리됐다. 노조 측이 노사 간 실질적인 협의가 아닌 사측의 일방적인 설명에 불과했다며 중간에 퇴장했다.
한편, 서울회생법원은 홈플러스 회생계획안 제출 기한을 애초 내달 12일에서 7월 10일로 한 달 연장했다. 회사의 존속·청산 여부를 가늠할 조사위원의 조사보고서 제출 기한이 다음 달 12일로 연기된 데 따른 것이다.김수연기자 newsnews@dt.co.kr
홈플러스 로고. 홈플러스 제공
22일 홈플러스와 노조 등에 따르면 김광일 MBK 부회장 겸 홈플러스 공동대표를 비롯한 경영진은 전날 민주노총 서비스연맹 마트산업노조 홈플러스 지부 측과 간담회를 하고 향후 계획 등을 설명했다.
홈플러스가 지난 3월 4일 회생절차에 들어간 이후 노사가 대면한 것은 처음이다.
김 부회장은 이 자리에서 고용안정을 최우선에 두고 회생 절차를 진행 중이며 인위적인 구조조정은 없을 것이라고 설명했다.
그러면서 회생이 성공하려면 수익성을 개선해 지속 가능한 사업 구조를 구축하는 게 반드시 필요하다며 회사를 정상화하고 직원들의 일자리를 지키기 위해 모든 가능성을 열어 놓고 접근할 필요가 있다고 거듭 강조했다.
사측은 회생 절차 개시 이후 소상공인 상거래채권을 우선 상환하고 납품이 정상화하는 등 모든 부분에서 빠르게 안정을 찾아가고 있다고 현재 상황을 설명했다.
하지만 노조는 사측이 임차료 협상 불발을 이유로 61개 임차 점포 가운데 17개 점포의 임대차 계약 해지를 통보한 것을 언급하며 "회생이라는 이름을 빌린 청산 수순"이라고 주장했다.
사측이 회생 절차와 관련한 주요 사안을 노조와 사전 공유하지 않은 채 사후 통보로 일관하는 것은 물론 회생계획안마저 비공개로 부치고 있다고 비판하기도 했다.
이번 간담회는 파행으로 마무리됐다. 노조 측이 노사 간 실질적인 협의가 아닌 사측의 일방적인 설명에 불과했다며 중간에 퇴장했다.
한편, 서울회생법원은 홈플러스 회생계획안 제출 기한을 애초 내달 12일에서 7월 10일로 한 달 연장했다. 회사의 존속·청산 여부를 가늠할 조사위원의 조사보고서 제출 기한이 다음 달 12일로 연기된 데 따른 것이다.김수연기자 newsnews@dt.co.kr

[저작권자 ⓒ디지털타임스 무단 전재-재배포 금지]
실시간 주요뉴스
기사 추천
- 추천해요 0
- 좋아요 0
- 감동이에요 0
- 화나요 0
- 슬퍼요 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