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연합뉴스]
[연합뉴스]
서울시는 비리 등 지역주택조합의 고질적인 문제 해결을 위해 조합 118곳에 대한 전수조사를 진행한다고 20일 밝혔다.

올해는 조합원 피해를 차단하기 위해 사기행위 조짐이 보이는 조합부터 선제적으로 점검할 방침이다.

시는 지난해 8월부터 서울시 피해상담 지원센터에 접수된 452건의 피해상담 사례를 분석, 다수 민원이 제기된 조합에 대해 시·구 전문가 합동 조사에 나선다.

조사는 오는 6월부터 10월까지 진행되며 기간은 기존 4개월에서 5개월로 늘렸다.

도시·주택행정 분야 전문가도 보강했다.

조합과 업무 대행사의 비리, 허위·과장 광고부터 사업비 개인사용, 과도한 용역 계약, 자격 미달자의 가입 유도 등도 살필 계획이다.

배임이나 횡령 의심 사례는 수사 의뢰하고, 실태 조사를 방해하거나 거부하는 조합은 계도 후에도 협조하지 않으면 고발할 방침이다.

동일한 지적 사항으로 2회 이상 적발된 조합은 예고 없이 과태료 부과 또는 고발 등 처분을 내린다.

지난해 조사에서는 618건의 위반 사항이 적발됐다.

시는 이번 조사를 통해 지역주택조합 운영 실태를 살피고 제도 개선 방안을 마련한다.

최진석 서울시 주택실장은 "지역주택조합의 투명한 운영과 조합원 피해 예방을 위해 실태조사와 사후 모니터링을 강화하고, 제도 개선을 꾸준히 추진할 것"이라고 말했다.

권준영기자 kjykjy@dt.co.kr

[저작권자 ⓒ디지털타임스 무단 전재-재배포 금지]
권준영

기사 추천

  • 추천해요 0
  • 좋아요 0
  • 감동이에요 0
  • 화나요 0
  • 슬퍼요 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