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더불어민주당 이재명 대선후보가 18일 광주광역시 북구 국립 5·18민주묘지에서 열린 5·18민주화운동 45주년 기념식에 참석한 뒤 취재진과 만나 인터뷰 하고 있다. [공동 취재·연합뉴스]](https://wimg.dt.co.kr/news/legacy/contents/images/202505/2025051902102369058001[1].jpg)
"내란 종식이 먼저"라며 개헌에 나홀로 반대해온 이재명 더불어민주당 대선 후보가 18일 페이스북을 통해 개헌론을 들고 나왔다. 그러면서 내년 지방선거나 2028년 국회의원 총선거에서 국민투표에 부치자는 제안도 함께 내놨다. 대선 유력 주자인 이 후보가 뒤늦게나마 개헌 구상을 밝힌 것은 환영할 만한 일이다. 이 후보의 개헌안은 논란의 여지가 있는 내용을 담고 있지만 이는 추후 사회적 논의 과정에서 해소가 가능할 것이다. 하지만 더 큰 문제는 이 후보의 발언이 국민들로부터 전적인 신뢰를 얻겠느냐는 점이다.
이 후보가 밝힌 개헌 구상은 대통령 4년 연임제와 대선 결선투표제 도입, 국무총리 국회 추천 등 현재 5년 단임제인 대통령 임기를 늘리고, 국회의 권한을 더욱 강화하는 것이 골자다. 4년 연임제에 대해선 대통령의 책임을 강화하면서 권한을 분산하는 방안이라며 정권에 대한 중간 평가가 가능해지면 그 책임성도 강화될 것이라고 했다. 4년 연임제는 현행 헌법에 명시된 대로 개헌 당시 재임 대통령엔 적용이 안된다고 밝혔다. 또 고위공직자범죄수처, 검찰청, 경찰청 등 수사기관과 방송통신위원회, 국가인권위원회 같은 기관장 임명은 반드시 국회의 동의를 받도록 해야 한다고 주장했다. 헌법 기관인 감사원은 국회 소속으로 이관하고, 대통령의 법률안 재의요구권(거부권)도 제한해야 한다고 했다. 대통령의 비상계엄 권한도 사전에 국회에 통보해 승인을 받도록 하고, 24시간 내 국회 승인을 얻지 못하면 자동으로 효력을 상실하게 해야 한다고 했다.
이 후보가 개헌 구상을 천명한 건 잘한 일이다. 그동안 정치개혁을 위해 개헌이 시급하다고 주장해온 전직 국회의원들의 모임인 대한민국헌정회도 지지를 표명했다. 하지만 크게 두가지의 문제가 있다. 첫째는 내용이다. 감사원을 국회 산하로 이관하고, 대통령의 거부권을 제한하는 것은 민주주의의 원칙인 삼권분립에 위배되는 것이다. 윤석열 전 대통령의 비상계엄에 반대한 국민들이 '다수의 폭정'을 찬성하는 건 아니다. 국회의 권한이 더 강화되면 다수당의 폭주를 제어할 방법이 없다. 이 후보가 제안한 개헌안보다는 권한과 책임이 보다 명확한 내각책임제가 더 바림직할 수도 있다. 불체포 면책권 등 의원에 주어진 수많은 특권을 없애고, 국회서 탄핵하면 법원 판결이 나기전에 곧바로 고위공무원 직무를 정지시키는 조항의 삭제 등도 포함시킬 필요가 있다. 또다른 문제는 진정성이다. 이 후보의 개헌 구상이 국가가 아닌 대선과 정파 이익을 위한 것 아니냐는 의구심이다. 적지 않은 국민들은 이번 개헌안이 5개 재판을 받고 있는 이 후보의 장기 집권을 위한 꼼수 아닌가하는 의혹을 보내는 것도 사실이다. 국민의힘은 "이재명 후보의 개헌안은 꼼수로 장기 독재로 가겠다는 선포"라며 "러시아의 푸틴 대통령식 재림 시나리오가 가능하다. 이재명 공화국을 건설하겠다는 것"이라고 비판했다. 나경원 의원은 4년 '중임제' 아닌 '연임제' 개헌론을 들고 나온 데 대해 '푸틴의 그림자'가 어른거린다고 했다. '중임'은 단 한 번의 재선 기회만 허용하며, 어떤 경우든 총 8년을 넘을 수 없는데 연임은 두 번하고 쉬었다 또 두 번 하는 징검다리 식으로 장기집권을 가능케 하는 혹세무민의 단어라는 것이다. 러시아 푸틴 대통령이 이 연임 규정으로 사실상 종신집권의 길을 열었음은 주지의 사실이다. 개헌 성공의 전제는 당대 권력자의 진정성과 국민의 신뢰다. 국민들이 믿지 못하면 어떠한 개헌 시도도 결국 실패할 것이다.
[저작권자 ⓒ디지털타임스 무단 전재-재배포 금지]
실시간 주요뉴스
기사 추천
- 추천해요 0
- 좋아요 0
- 감동이에요 0
- 화나요 0
- 슬퍼요 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