삼성물산 건설부문은 지난 16일 충남 천안시 서북구 삼성물산 모듈러 승강기 R&D 랩(Lab)에서 현대엘리베이터와 모듈러 승강기 기술 고도화를 위한 업무협약(MOU)을 체결했다고 18일 밝혔다.
이날 협약식에는 삼성물산 조인수 M&E본부장과 현대엘리베이터 이태원 CTO(최고기술책임자)를 비롯한 양사 주요 관계자들이 참석했다. 이번 협약을 계기로 양사는 지난해 공동 개발한 모듈러 승강기 기술을 고도화하고 그 범위를 초고층용으로 확대할 계획이다.
앞서 지난 2021년 삼성물산은 13m 이하의 저층용 건물에 적용할 수 있는 모듈러 승강기 1세대 기술을 개발한 바 있다. 이후 현대엘리베이터와 협업해 지난해에는 국내 최초로 건물 코어(Core)와 일체형(40m 높이 이하)인 2세대 기술 개발에 성공했다.
삼성물산은 세계 최고 높이인 UAE 부르즈 할리파, 2위인 말레이시아 메르데카 118 등의 초고층 빌딩 시공 경험을 토대로, 이번 협약을 통해 최대 500m 높이의 초고층 건물에도 적용 가능한 3세대 모듈러 승강기 기술 개발을 추진할 계획이다. 이를 바탕으로 초고층 시장에서 OSC(탈현장 건축)를 선도하겠다는 목표다.
모듈러 승강기 기술은 부품 중 약 70%를 사전에 모듈 형태로 조립해 공사 현장에서 수직으로 쌓아 설치하고 내·외장 마감 등만 진행하는 공법이다. 이를 통해 고소 작업 등의 위험 작업이 줄어들어 작업자의 안전 위험을 크게 낮출 수 있다. 특히 승강기 공사 기간을 기존 공법과 비교해 약 75% 가량 단축할 수 있는 장점이 있다. 특히 균일한 품질관리가 가능해 폐기물과 소음 및 분진 등의 발생이 대폭 줄어들 것으로 기대된다.
조인수 삼성물산 상무는 "승강기 공사의 모듈러 전환은 안전과 공기 측면에서 획기적인 장점이 있다"고 밝혔다. 이태원 현대엘리베이터 CTO는 "이번 협약을 계기로 현대엘리베이터는 건축과 승강기 간의 시너지 확대를 강화할 예정"이라면서 "사용자를 위한 더 안전하고 더 편리한 기술개발 노력을 지속할 것" 이라고 말했다.
권준영기자 kjykjy@dt.co.kr
조인수(왼쪽) 삼성물산 건설부문 M&E 본부장(상무)과 이태원 현대엘리베이터 CTO(전무)가 모듈러 승강기 기술 고도화를 위한 업무협약(MOU)을 체결한 뒤 기념촬영을 하고 있다. [삼성물산 제공]