안 장관 "협의 시한 50일 남아...국익 최우선 적극 협의할 것"
안덕근 산업통상자원부 장관은 미국과의 이른바 2+2 통상 협의를 하루 앞둔 23일(현지시간) 워싱턴DC 인근 덜레스 공항을 통해 미국으로 입국하고 있다. [연합뉴스]
안덕근 산업통상자원부 장관은 미국과의 이른바 2+2 통상 협의를 하루 앞둔 23일(현지시간) 워싱턴DC 인근 덜레스 공항을 통해 미국으로 입국하고 있다. [연합뉴스]
한미 통상장관은 16일 회동해 다음 주 미국에서 균형무역과 비관세 조치 등 6개 주요 분야를 중심으로 본격적인 협의에 들어가기로 했다.

산업통상자원부에 따르면 안덕근 산업통상자원부 장관과 제이미슨 그리어 미국 무역대표부(USTR) 대표는 이날 오후 제주국제컨벤션센터(ICC)에서 면담하고 관세 등 통상 현안을 주제로 협의를 진행했다.

안 장관은 협의를 마치고 나서 연 기자 간담회에서 "저와 그리어 대표는 다음 주에 제2차 기술 협의를 개최하는 데 합의했다"며 "2차 기술 협의에서는 산업부와 관계부처로 구성된 대표단이 미국을 방문해 균형 무역, 비관세 조치, 경제안보, 디지털 교역, 원산지, 상업적 고려 등 6개 분야를 중심으로 미국 정부와 본격적인 협의를 실시할 예정"이라고 말했다.

한미 정부는 지난달 24일 미국 워싱턴 DC에서 이뤄진 한미 2+2 고위급 통상 협의에서 미국의 상호관세 유예가 끝나는 7월 8일까지를 협상 시한으로 두고 포괄적 합의를 도출하자고 합의한 바 있다.

당시 한미 양국은 '2+2 고위급 협의' 직후 세부 현안을 논의하기 위해 6개가량의 실무 작업반을 구성하고 논의에 들어가기로 했다. 이후 지난 5월 1일 워싱턴DC에서 국장급 당국자들이 참여한 1차 기술 협의가 열렸지만, 미국이 18개국과 동시에 관세 협상을 진행하는 상황에서 USTR 측의 대응 여력이 부족해 한미 간 논의는 세부 의제 조율 등 구체적 협상 단계로는 진전되지 못했다.

이에 다음주에 이뤄질 2차 기술 협의에서는 미국이 한국에 대한 요구가 구체화하는 등 양국 간 논의가 본격적인 협상의 국면으로 넘어갈 수 있다는 관측이 나온다.

안 장관은 이날 그리어 대표에게 한국을 대상으로 한 상호 관세와 품목 관세 일체를 면제해달라는 우리 정부의 입장을 재차 전달했다고 설명했다.

안 장관은 "미국 정부가 설정한 협의 시한이 50여일 앞으로 다가왔다"며 "권한 대행 체제에서도 정부는 국익 최우선을 목표로 미국과 적극 협의해나가는 한편, 협의 과정에 대해서도 국회 및 국민 여러분께 소상히 설명해 드릴 예정"이라고 말했다.

세종=강승구기자 kang@dt.co.kr

[저작권자 ⓒ디지털타임스 무단 전재-재배포 금지]
강승구

기사 추천

  • 추천해요 0
  • 좋아요 0
  • 감동이에요 0
  • 화나요 0
  • 슬퍼요 0